KR0144520B1 -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520B1
KR0144520B1 KR1019950000669A KR19950000669A KR0144520B1 KR 0144520 B1 KR0144520 B1 KR 0144520B1 KR 1019950000669 A KR1019950000669 A KR 1019950000669A KR 19950000669 A KR19950000669 A KR 19950000669A KR 0144520 B1 KR0144520 B1 KR 014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auxiliary
auxiliary stopper
main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24125A (en
Inventor
기미다까 다까노
히로아끼 도요시마
히로시 이마무라
마사끼 쓰즈끼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4-4176 external-priority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5002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1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52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3Chutes of straight form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zig-zag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전체의 깊이 치수를 축소하고, 또 원활한 반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조 샤프트(62)와 로크 샤프트(36)을 갖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기구(14)와, 작동 기구(14)를 상하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15)와, 보조 스톱퍼(12)의 기부에 설치되고 보조 스톱퍼(12)의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룬 걸림면(35)를 구비한다. 작동 기구(14)가 하강한 상태에서 보조 샤프트(62)는 보조 스톱퍼(12)를 후퇴 위치로 회전시키고, 로크 샤프트(36)의 주 스톱퍼(13)을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걸림면(35)는 로크 샤프트(36)의 상방으로의 이동 통로를 막는다. 작동 기구(14)가 상승한 때 보조 샤프트(62)는 보조 스톱퍼(12)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걸림면(35)는 로크 샤프트(36)의 이동 통로를 개방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that can reduce the depth dimension of the entire apparatus and realize a smooth discharging operation. An actuating mechanism 14 having an auxiliary shaft 62 and a lock shaft 36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solenoid 15 for moving the operating mechanism 14 up and down, and a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12, It is provided with the arcuate locking surface 35 centered on the rotating shaft 31 of the auxiliary stopper 12. As shown in FIG. With the operating mechanism 14 lowered, the auxiliary shaft 62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12 to the retracted position, rotates the main stopper 13 of the lock shaft 36 to the restraining position, 35 blocks the passage of movement upward of the lock shaft 36. When the actuation mechanism 14 is raised, the auxiliary shaft 62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12 to the rest position, and the locking surface 35 opens the movement passage of the lock shaft 36.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Goods taking out device of vending machine

제1도는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를 탑재한 상품 랙의 개략적 종단면도.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goods rack equipped with a product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의 배면도.3 is a rear view of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주 스톱퍼가 제지 위치로 회전한 상태의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main stopper rotated to the papermaking position.

제5도는 양 스톱퍼가 회전 도중에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both stoppers in the middle of rotation.

제6도는 보조 스톱퍼가 제지 위치로 회전한 상태의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uxiliary stopper rotated to the papermaking posi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상품 랙 4:상품 통로1: goods rack 4: goods aisle

5:상품 반출 장치 12:보조 스톱퍼5: Goods taking out device 12: Auxiliary stopper

13:주 스톱퍼 14:작동 기구13: Main stopper 14: Mechanism

15:솔레노이드(구동 수단) 35:걸림면15: solenoid (driving means) 35: catching surface

36:로크 샤프트(계지 수단) 62:보조 샤프트(작용 수단)36: lock shaft (measuring means) 62: auxiliary shaft (action means)

본 발명은 캔 음료 등의 상품을 한 개씩 반출하여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that carries out and sells products such as canned drinks one by one.

종래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는 상품 통로의 한 쪽 통로 벽을 구성하는 샤시에 상부 언덕판과 하부 언덕판과, 상하 양 언덕판을 작동시키는 요동 링크와,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와, 이 솔레노이드에 대향하여 설치한 코일 스프링을 조립하여 구성되고 있었다.The merchandise discharg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includes the upper hill plate and the lower hill plate, the swing link for operating the upper and lower hill plates, the solenoid constituting the driving device, It consisted of assembling the coil spring which installed opposite the solenoid.

상하 양 언덕판은 각 기부에서 상하로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품 통로로 돌출하는 제지 위치와 상품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각각 회전된다. 상부 언덕판에는 기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아암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암부의 말단에 요동 링크가 연결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hill plates are rotatably attached to the support shafts arranged horizontally up and down at each base, respectively, and are rotated between a papermaking position protruding into the goods passage and a retracted position retreating from the goods passage. An upper hill plate is provided with an arm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base, and a swinging link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rm portion.

요동 링크는 상단부에서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맞닿을 수 있게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에서 상부 언덕판의 아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아암부는 하단을 샤시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한편, 상부 언덕판의 아암부의 중간부에는 작동 핀이 프레임에 수평으로 헐겁게 끼워져 있으며, 이 작동 핀에 하부 언덕판 기부의 계합부가 결합하고, 하부 언덕판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The oscillating link is connected to abut the plunger of the solenoid at the upper end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arm of the upper hill plate at the lower end. Moreover, the arm part is urged downward by the coil spring fixed to the chassis at the lower end. On the other hand, an actuating pin is loosely fitted horizontally to the frame in the middle of the arm part of the upper hill plate,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lower hill plate base is coupled to the actuating pin so that the lower hill plate is rotated.

이런 구성에서, 상부 언덕판이 후퇴 위치에 있으며, 하부 언덕판이 제지 위치에 있는 대기 상태로부터 솔레노이드가 여자(勵磁)되면 플런저를 거쳐서 요동 링크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작동 핀과 하부 언덕판의 결합이 풀려서 하부 언덕판이 후퇴 위치로 회전되는 동시에 상부 언덕판이 제지 위치로 회전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olenoid is excited from the standby state where the upper hill plate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lower hill plate is in the restraint position, the rocking link moves upward through the plunger, and the coupling of the operation pin and the lower hill plate is The lower hill plate is rotated to the retracted position while the upper hill plate is rotated to the papermaking position.

이어서, 솔레노이드가 소자(消磁)되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아암부를 거쳐 상부 언덕판이 후퇴 위치로 회전되는 동시에 작동 핀으로 된 언덕판이 계합하여 하부 언덕판이 제지 위치로 회전된다.Subsequently, when the solenoid is demagnetized, the upper hill plate is rotated to the retracted position through the arm portion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and the hill plate made of the operating pin engages to rotate the lower hill plate to the papermaking position.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하부 언덕판이 후퇴 위치로 회전한 때 상부 언덕판이 제지 위치로 회전하고 하부 언덕판이 제지 위치로 회전한 때 상부 언덕판이 휘퇴 위치로 회전됨으로써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의 상품이 한 개씩 반출되는 것이었다.As such, when the lower hill plate is rotated to the retracted position by the driving of the solenoid, the upper hill plate is rotated to the retreat position when the lower hill plate is rotated to the papermaking position, so that the lowest goods in the goods passage are It was to be taken out one by one.

그러나, 종래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언덕판의 아암부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이에 요동 링크가 연결된 구조였기 때문에 그 만큼 반출 장치 전체의 깊이 치수가 확대되어 버린다. 한편, 근래에는 자동 판매기의 설치 스페이스의 축소, 특히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으며, 상기 상품 반출 장치의 깊이 치수의 확대는 이런 자동 판매기의 박형화의 장애가 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duct discharg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arm portion of the upper hill plate extends backward and is installed, and since the swing link is connected thereto, the depth dimension of the whole discharging device is increased by that amount.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reduc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a vending machine, especially thinning, is desired, and the enlargement of the depth dimension of the said product carrying apparatus became an obstacle of such a thinning of th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이런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장치 전체의 깊이 치수를 축소하고, 또 원활한 반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is conventional technical subject, and it aims at providing the goods dispensing apparatus of the vending machine which can reduce the depth dimension of the whole apparatus, and can implement | achieve a smooth carrying out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의 발명은, 상품 통로로 돌출한 제지 위치와 상기 상품 통로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를 상하로 배치하고,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킨 때 상기 주 스톱퍼는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 스톱퍼가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한 때 상기 주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켜서 상기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의 상품을 반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rotatably pivoted between the papermaking position protruding into the goods passage and the retracted position retracted from the goods passage, and the auxiliary stopper The main stopper rotates to the retracted position when rotated to the restraint position, and the main stopper rotates to the restrained position when the auxiliary stopper rotates to the retracted position,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lowest goods in the goods passage In the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상기 보조 스톱퍼와 상기 주 스톱퍼는 각 피봇축에 각각 자유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are rotatably attached to each pivot axis in a free state, respectively.

상기 보조 스톱퍼와 상기 주 스톱퍼를 회전시키는 작동 수단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보조 스톱퍼 및 상기 주 스톱퍼에 결합 및 이탈 가능하게 구성된 작동 부재를 갖고,The actuating means for rotating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has an operating member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hile being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상기 작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에는 상기 주 스톱퍼로부터 이탈하고 또 상기 보조 스톱퍼에 계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보조 스톱퍼로부터 이탈하고 또 상기 주 스톱퍼에 계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member is disengaged from the main stopper when moving up and down, and engaged with the auxiliary stopper to rotate it to a papermaking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moving member is disengaged from the auxiliary stopper and engaged with the main stopper to restrain 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otate to the position.

또, 청구항2의 발명은, 상기 작동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 작동 부재에 가해지는 힘을 받는 한 쌍의 지지 부재를 또 구비하고, 그 양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 쪽을 상기 보조 스톱퍼 및 상기 주 스톱퍼의 상기 양 지지축 사이에 걸치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vention of claim 2 further includes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that support the actuating member and receive a force applied to the actuating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members is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so as to span between the support shafts.

또, 청구항3의 발명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하 이동시에 상기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계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작동 부재와, 그 작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vention of claim 3 includes an operation member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engaged with the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to move up and down to the papermaking position when moving up and down, and a solenoid for moving the operation member up and dow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lunger of the solenoid.

또, 청구항4의 발명은, 상기 작동 부재에 대한 상기지지 부재의 지지면이 상기 다음 판매 상품으로부터 상기지지 부재에 작용하는 부하의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면 내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of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with respect to the actuating member is constituted in a plane that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acting on the support member from the next sale product.

또, 청구항5의 발명은, 상기 주 스톱퍼에는, 제지 위치에서 상기 작동 부재가 계합하는 동시에 상기 주 스톱퍼의 회전 방향에 거의 직교하고 또 상기 작동 부재를 협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결합면을 갖는 계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of claim 5 is that the main stopper has a pair of engagement surfaces arranged so as to engage the operating member at a papermaking position and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stopper and to sandwich the operating member. A groove is formed.

또, 청구항6의 발명은, 작용 수단과 걸림 수단을 갖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룬 걸림면을 구비하고,In addition, the invention of claim 6 is provided with an actuating member provided with an actuating means and a locking means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actuating member up and down, and a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and centered on a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stopper. It is provided with the engaging surface which formed the arc shape,

상기 작동 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주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상기 걸림면은 상기 걸림 수단의 상방으로의 이동 통로를 막는 동시에,The actuating means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tracted position while the actuating member is lowered, the catching means rotates the main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and the catching surface is located above the catching means. At the same time blocking the passage,

상기 작동 부재가 상승한 때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상기 걸림면은 상기 걸림 수단의 이동 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uating means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when the actuating member is raised, and the catching surface opens the movement passage of the catching means.

또, 청구항7의 발명은, 상품 통로로 돌출한 제지 위치와 상기 상품 통로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를 상하로 배치하고,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킨 때 상기 주 스톱퍼는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 스톱퍼가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한 때 상기 주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켜서 상기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의 상품을 반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Moreover, invention of Claim 7 arrange | positions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rotatably pivoted between the papermaking position which protruded to the goods channel | path, and the retreat position which retracted from the said goods channel | path, and the said auxiliary stopper is made to hold | maintain the said paper stopper. The main stopper rotates to the retracted position when rotated to the position, and rotates the main stopper to the restraint position when the auxiliary stopper rotates to the retracted position, thereby dispensing the lowest goods in the goods passage. In the goods taking out device,

작용 수단과 걸림 수단을 갖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기구와, 상기 작동 기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품 통로측이 낮고 또 상기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향한 선에 대해 직각 혹은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경사진 걸림면을 구비하고,An actuating mechanism provided with an actuating means and a locking means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actuating mechanism up and down, a line installed at the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and having a lower side of the product passage and toward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stopper; Has a locking surface that is inclined to intersect at right or acute angles to

상기 작동 기구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주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상기 걸림면은 상기 걸림 수단의 상방으로의 통로를 막는 동시에,In the state where the operating mechanism is lowered, the actuating means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tracted position, the catching means rotates the main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and the catching surface is above the catching means. At the same time blocking the passage of

상기 작동 기구가 상승한 때,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상기 지지면은 상기 걸림 수단의 이동 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actuating mechanism is raised, the actuating means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and the support surface is characterized by opening the moving passage of the catching means.

또, 청구항8의 발명은, 상기 걸림 수단은 작용 수단에 의해 지연되어 상승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of claim 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rise by being delayed by the action means.

청구항1의 발명에 따르면,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를 회전시키는 작동 수단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작동 부재를 갖고, 작동 부재가, 상항 이동시에 상기 주 스톱퍼로부터 이탈하고, 또 상기 보조 스톱퍼에 결합하여 이탈하고, 또 주 스톱퍼에 결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가 각각 작동 수단에 의해 직접적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이 부분의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고, 또 부재끼리의 연결 개소를 적게 할 수 있다. 또,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는 각 지지축에 각각 자유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에 대해 작동 수단의 작동 부재가 결합 및 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스톱퍼로부터 작동 부재가 이탈한 상태에서는 보조 스톱퍼는 자유 상태(자유 회전 상태)로 된다. 이 자유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보조 스톱퍼를 상품 통로에 마주 보게하여 품절 등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operating means for rotating the main stopper have an operating member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operating member is detached from the main stopper during upward movement, and is coupled to the auxiliary stopper to disengage. And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are actuated directly by the actuating means, respectively, because they are configured to engage the main stopper and rotate it to the papermaking position.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of this part can be reduced, and the connection location of members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are rotatably attached to each support shaft in the free state, respectively, and the operation member of the operating means is comprised so that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re possible, in the state which the operation member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stopper, The auxiliary stopper is in a free state (free rotation state). In this free state, for example, the auxiliary stopper can be used as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old-out or the like by facing the goods passage.

또, 청구항2의 경우, 작동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작동 부재에 걸리는 힘을 받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또 구비하고, 양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 쪽을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의 양 지지축 상이에 걸치도록 부착함으로써 작동 부재의 폭에 맞추어지지 부재를 양 지지축의 축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힘의 전달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laim 2, there is further provided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which support the operating member and receive the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members extends between the two support shafts of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By attaching so that a support member can be attached to the width | variety of an operation member at arbitrary positions of the axial direction of both support shafts, the force transmission balance can be made favorable.

또, 청구항3의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 부재가 상승 이동하면 작동 부재가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계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한편, 작동 부재가 하강 이동하면 주 스톱퍼의 기부에 계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작동 부재가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직접 연결되는 동시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또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의 양 기부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를 거쳐서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를 솔레뇌이드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부재나 회전 부재, 회전 이동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laim 3, when the operation member is moved upward by the solenoid, the operation member engages with the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and rotates it to the restraining position, while when the operation member moves downward, it engages with the base of the main stopper and restrains it. Rotate to In this case, the operation memb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lunger of the solenoid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is coupled to both bases of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Therefore,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can be directly rotated by the solenoid via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apparatus can be configured without using a constituent member, a rotating member, a rotary moving member, or the lik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can be made into a simple structure.

또, 청구항4의 경우, 다음 판매 상품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보조 스톱퍼로부터 작동 부재를 거쳐서 구동 수단에 전달되고, 구동 수단으로 지지하게 되지만 이 하중을 작동 부재로부터 받는지지 부재의 지지면이지지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면 내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의 대부분이지지 부재에 가해지고, 구동 수단에 가해지는 하중은 작아진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laim 4, the load applied from the next merchandise is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driving means via the actuating member and supported by the driving means, but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receiving the load from the actuating member is applied to the supporting member. Since it is comprised in the surfac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acting load, most of a load is applied to a support member and the load applied to a drive means becomes small.

또, 청구항5의 경우는 보조 스톱퍼가 상품 통로에 경사 상방으로부터 돌출한 제지 위치에서는 작동 부재가 보조 스톱퍼의 계합 홈에 계합하고 있다. 이 경우, 계합 홈이 보조 스톱퍼의 회전 방향에 거의 직교하고 또 작동 부재를 협지 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계합면을 가짐으로써 제지 위치에 있어서의 보조 스톱퍼는 작동 부재에 의해 부동으로 유지된다. 즉, 계합 홈의 한 쪽 계합면이 보조 스톱퍼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가압면으로서 작용하고, 다른 쪽 계합면이 보조 스톱퍼의 돌출 각도를 규제하는 규제면으로서 작용하지만 작동 부재가 계합 홈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보조 스톱퍼는 한 쌍의 계합면에 의해 일정 돌출 각도로 부동으로 유지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laim 5, the operating member engages with the engaging groove of the auxiliary stopper at the papermaking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stopper protrudes from the inclined upper part in the goods passage. In this case, the auxiliary stopper in the paper-making position is held floating by the operation member by having the pair of engagement surfaces arranged substantiall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stopper and sandwiching the operation member. That is, one engagement surface of the engagement groove serves as a pressing surface for rotating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papermaking position, while the other engagement surface serves as a restricting surface for regulating the protruding angle of the auxiliary stopper, but the operating member engages with the engagement groove. In the state of being assisted, the auxiliary stopper is held floating at a certain protruding angle by a pair of engagement surfaces.

또, 청구항6의 발명에 따르면, 작동 기구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작동 수단은 보조 스톱퍼를 후퇴 위치로 회전시키고, 걸림 수단은 주 스톱퍼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므로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의 상품은 스톱퍼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의 하중은 주 스톱퍼를 거쳐서 걸림 수단에 가해지지만 보조 스톱퍼의 걸림면은 걸림 수단의 상방으로의 이동 통로를 막고 있으므로 걸림 수단은 걸림면에 맞닿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in the state where the actuation mechanism is lowered, the actuating means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locking means rotates the main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so that the lowest goods in the goods passage are held by the stopper. do. The load at this time is applied to the locking means via the main stopper, but since the locking surface of the auxiliary stopper blocks the passage of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buts against the locking surface.

여기서, 걸림면은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걸림 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회전축 방향의 힘과 걸림면의 원호의 접선 방향으로의 힘으로 분산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런 주 스톱퍼로 하중은 보조 스톱퍼를 회전시키지 않고 대부분은 걸림면에 의해 받쳐지게 된다. 따라서, 주 스톱퍼를 걸림 수단에 계합시키는 등에 의해 하중을 횡방향으로 분산시키지 않고 상품이 확실하게 받쳐지게 되며, 작동 기구를 상승시킬 때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Here, since the locking surface forms an arc shap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stopper, the force applied from the locking mea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ends to be dispersed by the forc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arc of the locking surface. In this case, the load to the main stopper is supported by the engaging surface without rotating the auxiliary stopper. Therefore, the product is reliably supported without distributing the load laterally by engaging the main stopper with the locking means, and the load when raising the operating mechanism can be reduced.

그리고, 구동 수단에 의해 작동 기구가 상승되면 작동 기구에 작용 수단은 보조 스톱퍼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의 바로 위의 상품을 유지하는 동시에 걸림면은 걸림 수단의 이동 통로를 개방하므로 주 스톱퍼는 후퇴 위치로 회전하여 최하위의 상품만을 반출한다.Then, when the actuating mechanism is raised by the driving means, the acting means acting on the actuating mechanism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while holding the goods immediately above the lowest level in the goods passage, while the locking surface opens the movement passage of the catching means. The main stopper rotates to the retracted position and only the lowest goods are taken out.

이 경우, 작동 기구는 구동 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연장되는 아암부 등을 형성하지 않고 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actuation mechanism is movable up and down by the driving means, the apparatus can be constituted without forming an arm portion or the like that extends as conventionally.

특히, 걸림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수단이 걸림면에 맞닿아 있어도 보조 스톱퍼는 작동 기구의 상승에 수반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구동 수단에 의한 작은 힘으로 작동 기구 및 양 스톱퍼의 동작을 확실하고 또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locking surface has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stopper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topper can rotate smoothly with the rise of the operating mechanism even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as described above. hav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smoothly operate the operating mechanism and both stoppers with a small force by the driving means as a whole.

또, 청구항7의 발명의 상품 반출 기구의 경우는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설치된 걸림면은, 상품 통로측이 낮으며, 또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으로 향하는 선에 대해 직각 혹은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상품의 하중에 의해 걸림 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회전축 방향의 힘과 걸림면의 연장 방향 혹은 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으로 분산되는 형태로 된다.In the case of the product carrying-out mechanism of the invention of claim 7, the engaging surface provided on the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has a low product passage side and is inclined to cross at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dir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stopper. The force applied from the locking mean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oad is in the form of being dispersed by the force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and the for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cking surface or in a direction falling away therefrom.

즉, 걸림 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보조 스톱퍼의 회전 방향 이외에는 보조 스톱퍼의 내부로 향하지 않게 되므로 이런 주 스톱퍼의 하중은 보조 스톱퍼를 회전시키지 않고 대부분은 걸림면에 의해 받쳐지게 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주 스톱퍼를 걸림 수단으로 결합시키는 등에 의해 하중을 횡방향으로 분산시키지 않고 상품을 확실하게 받쳐지게 되며, 작동 기구를 상승시킬 때의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the force applied from the locking means is not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auxiliary stopper excep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stopper, so that the load of the main stopper is supported by the engaging surface without rotating the auxiliary stopper. Therefore, similarly, the product can be reliably supported without distributing the loa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engaging the main stopper with the locking means or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when raising the operating mechanism.

또, 청구항8의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에 따르면 상기에 부가하여 걸림 수단이 작용 수단에 의해 지연되어 상승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구동 수단에 의해 작동 기구를 상승시킬 때 작용 수단에 의해 먼저 보조 스톱퍼를 회전 개시하고 나서 걸림 수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스톱퍼의 회전 및 걸림 수단의 상승을 원활하게 행하고, 작동 기구 및 양 스톱퍼의 동작을 보다 원활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the eigh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delayed and raised by the acting means, so when the actuating means is raised by the driving means, the auxiliary stopper is first started to rotate. After that, the locking means can be rais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smoothly rotate the auxiliary stopper and raise the locking means, and smoothly operate the operating mechanism and both stoppers.

이하, 도면을 기초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5)는 캔 음료용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래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제1도는 상품 랙(1)의 개략적 종단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상품 랙(1)은 케이스(2) 내에 예를 들면 두 종류의 상품(A,A)를 판매 가능한 두 줄의 상품 수납 칼럼(3,3)을 전후로 등을 맞대고 병설한 것이며, 각 상품 수납 칼럼(3)에는 동일 상품(A)가 상하 방향으로 다수 수납되는 상품 통로(4)가 형성되어 있다. 상품 랙(1)하부의 전후에는 한 쌍의 상품 통로(4,4)의 한 쪽 통로 벽을 각각 구성하도록 한 쌍의 상품 반출 장치(5, 5)가 등을 맞대고 설치되어 있으며, 각 상품 반출 장치(5, 5)에 의해 각 상품 통로(4, 4)내의 상품(A)가 하방으로 각각 하나씩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The goods dispensing apparatus 5 of this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goods rack of the vending machine for canned beverage, and FIG. 1 shows the schematic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goods rack 1. As shown in FIG. In FIG. 1, the merchandise rack 1 includes two rows of merchandise storage columns 3 and 3 that can sell, for example, two kinds of merchandise A and A in the case 2, back to front and back. Each product storage column 3 is provided with a product passage 4 in which the same product A is hou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e lower part of the goods rack (1), a pair of goods removal apparatus (5, 5) is provided with a back-to-back so as to constitute one aisle wall of a pair of goods aisles (4, 4), respectively. The apparatus 5, 5 is comprised so that the goods A in each goods channel 4 and 4 may be discharged | disconnected one by one, respectively.

이하에, 제1도의 좌측의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5)를 설명한다. 제2도는 상품 반출 장치(5)의 측면도, 제3도는 그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품 반출 장치(5)는 상품 랙(1)의 케이스(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샤시(11)과, 샤시(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보조 스톱퍼(12) 및 주 스톱퍼(13)과, 양 스톱퍼(12,13)을 회전시키는 작동 기구(14)와, 구동 수단으로서의 솔레노이드(15)와, 솔레노이드(15)에 대향하여 설치된 코일 스프링(16)으로 구성되어 있다.Below, the goods removal apparatus 5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aking the thing of the left side of FIG. 1 as an example. 2 is a side view of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5, and FIG. 3 is a rear view thereof.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5 includes a chassis 11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se 2 of the product rack 1, an auxiliary stopper 12 and a main stopper 13 rotatably attached to the chassis 11. And an actuating mechanism 14 for rotating both stoppers 12 and 13, a solenoid 15 as a driving means, and a coil spring 16 provided to face the solenoid 15.

그리고, 판매 지령을 기초로하여 솔레노이드(15)가 여자 및 소자되고, 이에 대응하여 코일 스프링(16)이 신축하면 작동 기구(14)를 거쳐서 보조 스톱퍼(12) 및 주 스톱퍼(13)이 각각 소정 타이밍에서 상품 통로(4) 측으로 회전하고, 상품 통로(4) 내의 상품(A)가 최하위의 것으로부터 차례로 하나씩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작동 기구(14) 및 솔레노이드(15)는 등을 맞대고 설치한 다른 상품 반출 장치(5)의 작동 기구(14) 및 솔레노이드(15)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할 수 있도록 샤시(11)의 우측(정면으로부터 보아서)으로 편위하여 부착되어 있다.Then, the solenoid 15 is excited and demagnetized based on the sales instruction, and correspondingly, when the coil spring 16 expands and contracts, the auxiliary stopper 12 and the main stopper 13 are respectively predetermined via the operating mechanism 14. It rotates to the goods path | route 4 side in timing, and the goods A in the goods path | route 4 are discharged one by one from the lowest one below. In this case, the chassis 11 is arranged so that the actuating mechanism 14 and the solenoid 15 can be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th the actuating mechanism 14 and the solenoid 15 of the other goods discharging device 5 which are installed with their backs facing each other. Are attached to the right side (viewed from the front).

샤시(11)은 강판의 양측부를 후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이 절곡부(21,21)의 상하 양 단부에 형성된 U자형 홈에 의해 상품 랙(1)의 케이스(2)에 걸친 상하지지 로드(6,6)에 제1도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샤시(11)의 전면은 평탄하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품 통로(4)의 한 쪽의 통로 벽이 구성된다. 샤시(11)의 중간부에는 양 스톱퍼(12,13)을 상품 통로(4)에 마주 보게 하기 위한 개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22)의 양측 모서리부가 후방으로 절곡 상승되고, 이 절곡 상승부(22,23)에 상하 보조 스톱퍼(12) 및 주 스톱퍼(13)의 각각의 회전축(31,41)이 양쪽에서 피봇되어 있다.The chassis 11 is formed by bend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steel plate to the rear, and the upper and lower limb rods extending over the case 2 of the goods rack 1 by U-shaped groove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nt portions 21 and 21. It is attached to (6, 6) as shown in FIG. The front surface of the chassis 11 is formed flat, whereby one passage wall of the goods passage 4 is formed. An opening 2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hassis 11 so that the stoppers 12 and 13 face the product passage 4, and both edge portions of the opening 22 are bent upwards to the rear, The rotating shafts 31 and 41 of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stopper 12 and the main stopper 13 are pivoted on both of the bent upwardly extending portions 22 and 23.

샤시(11)의 상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한 솔레노이드 부착부(24)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한 스프링 부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 부호 26 및 27은 각각 스톱퍼(13) 및 보조 스톱퍼(12)의 후퇴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면이다.A solenoid attachment portion 24 bent rearwar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hassis 11, and a spring attachment portion 25 bent backwardly is formed at the lower end as well. Reference numerals 26 and 27 denote restriction surfaces for restricting the retreat positions of the stopper 13 and the auxiliary stopper 12, respectively.

상기 보조 스톱퍼(12)는 샤시(11)의 개구(22)의 대략 전폭에 걸치 치수의 사각형을 이룬,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판이며, 그 기부에 있어서 샤시(11)의 절곡 상승부(23,23)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진 회전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조 스톱퍼(12)는 샤시(11)의 개구(22)를 거쳐서 상품 통로(4) 내에 경사 상방으로부터 돌출한 제지 위치와, 상품 통로(4)로부터 후방으로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auxiliary stopper 12 is a resin plate of, for example, a polyacetal, which has a quadrangular dimension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opening 22 of the chassis 11, and the bent rising portion of the chassis 11 at its base.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31 extended horizontally between (23,23). In this state, the auxiliary stopper 12 rotates between the restraining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inclined upper portion in the goods passage 4 via the opening 22 of the chassis 11 and the retracted position retreating backward from the goods passage 4. It is possible.

이 제지 위치에서는 보조 스톱퍼(12)의 선단이 상품(A)에 경사지게 우측으로 절곡하고, 후퇴 방향에 가해지는 상품(A)의 무게(쌓여 있는 모든 상품의 무게) 및 감기 스프링(28)의 복원력을 후술하는 제6도와 같이 걸림 수단으로서의 로크 샤프트(36)과 가이드 부재(63A,63B)의 계합 구조, 및 여자된 솔레노이드(15)의 흡인력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5)를 소자하면 보조 스톱퍼(12)는 상품(A)의 무게 및 감기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제지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밀려나도록 회전하고, 후퇴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In this papermaking position, the tip of the auxiliary stopper 12 is bent to the right side obliquely to the product A, and the weight of the product A applied to the retraction direction (weight of all stacked products)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8 Is maintained by the engagement structure of the lock shaft 36 and the guide members 63A and 63B as the locking means,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excited solenoid 15 as shown in FIG. When the solenoid 15 is depressed in this state, the auxiliary stopper 12 rotates to be pushed from the rest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article A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8, and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retracted position.

보조 스톱퍼(12)의 우측(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부분에는 기부가 깊게 절결된 절결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32)를 끼워서 양측에 기부로부터 계합부(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부(33)에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의 상부 계합 홈(34A) 및 하부 계합 홈(34B)가 각각 후향 및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하 계합 홈(34,34B)에는 걸림면(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면(35)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계합 홈(34A)에는 보조 스톱퍼(12)를 회전시키는 작용 수단으로서의 후술하는 보조 샤프트(62)가 하측으로부터 계합하고, 걸림면(35)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크 샤프트(36)이 하측으로부터 맞닿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In the part of the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auxiliary stopper 12, the notch part 32 where the base was deeply cut | disconnected is formed, and the engaging part 33 is formed in the both sides by fitting this notch part 32 in both sides. It is. As shown in Figs. 4 to 6, the engagement portion 33 is formed with a U-shaped upper engagement groove 34A and a lower engagement groove 34B, respectively, in a backward direction and downward direction. Engaging surfaces 35 are formed at 34 and 34B. This locking surface 35 forms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rotating shaft 31. Subsequent to the upper engagement groove 34A, an auxiliary shaft 6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an actuating means for rotating the auxiliary stopper 12 is engaged from the lower side, and the locking surface 36 is provided with a locking shaft 36 as described later. It is a positional relationship which abuts from the lower side.

즉, 보조 샤프트(62)가 최하단으로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4도와 같이 보조 스톱퍼(12)가 후퇴 위치에 있어서 보조 샤프트(62)는 보조 스톱퍼(12)의 상부 계합 홈(34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 걸림면(35)는 로크 샤프트(36)에 상방으로의 이동 통로를 막는 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보조 샤프트(62)가 상승해 가면 보조 샤프트(62)에 의해 상부 계합 홈(34A)의 상부 벽이 밀려서 보조 스톱퍼(12)가 전방으로 회전해 가고, 걸림면(35)는 로크 샤프트(36)의 이동 통로를 개방해간다(제5도 참조). 그 후, 보조 샤프트(62)가 최상단에 달하면 보조 샤프트(62)는 상부 계합 홈(34A)로부터 탈출하고, 대신에 로크 샤프트(36)이 하부 계합 홈(34B)에 계합하여 회전이 규제된다(제6도 참조). 그리고, 이 규제된 상태가 보조 스톱퍼(12)의 제지 위치로 된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shaft 62 descends to the lowest end, the auxiliary shaft 62 is located in the upper engagement groove 34A of the auxiliary stopper 12 in the retracted position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locking surface 35 is in the position which blocks the upward movement path | route to the lock shaft 36. As shown in FIG. As the auxiliary shaft 62 rises from this state, the upper wall of the upper engagement groove 34A is pushed by the auxiliary shaft 62 so that the auxiliary stopper 12 rotates forward, and the locking surface 35 is locked. The moving passage of 36 is opened (see FIG. 5). Thereafter, when the auxiliary shaft 62 reaches the top, the auxiliary shaft 62 escapes from the upper engagement groove 34A, and instead the lock shaft 36 engages the lower engagement groove 34B so that rotation is restricted ( 6). Then, this regulated state becomes the restraining position of the auxiliary stopper 12.

주 스톱퍼(13)도 샤시(11)의 개구(22)의 대략 전폭에 걸친 치수의 사각형을이룬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판이며, 그 기부에 있어서 샤시(11)의 절결부(23,23)에 수평으로 걸친 회전축(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주 스톱퍼(13)은 샤시(11)의 개구(22)를 거쳐서 상품 통로(4) 내에 경사 하방으로부터 돌출한 제지 위치와, 상품 통로(4)로부터 후방으로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main stopper 13 is also a resin plate of, for example, polyacetal, which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dimension over approximately the entire width of the opening 22 of the chassis 11, and the cutouts 23, The main stopper 13,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41 horizontally across 23, has a papermaking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inclined bottom in the goods passage 4 via the opening 22 of the chassis 11, and the goods. It is compris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retreat positions which retreated backward from the passage 4.

이 제지 위치에서는 주 스톱퍼(13)의 선단이 상품(A)에 경사 하방으로부터 맞닿고, 후퇴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품(A)에 가해지는 상품(A)의 무게(쌓여 있는 모든 상품의 무게)를 제4도와 같이 걸림면(35)와 로크 샤프트(36)의 맞닿음 구조 및 코일 스프링(16)의 복원력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5)가 여자되면 주 스톱퍼(13)은 상품(A)의 무게로 제지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밀어내도록 회전한다.In this papermaking position, the tip of the main stopper 13 abuts against the product A from the lower side of the slope, and the weight of the product A applied to the product A applied in the retraction direction (weight of all stacked products) is measured. As shown in FIG. 4, the engagement structure between the locking surface 35 and the lock shaft 36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6 are maintained. In this state, when the solenoid 15 is excited, the main stopper 13 is rotated to push from the paper-making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goods A.

주 스톱퍼(13)의 우측(정면으로부터 보아) 부분에는, 마찬가지로 기부가 깊게 절결된 절결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42)를 끼워서 양측에 기부로부터 계합부(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부(42)에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도려낸 홈(44)가 상향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홈(44)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면(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44) 및 가이드 면(45)에는 주 스톱퍼(13)을 회전시키는 걸림 수단으로서의 로크 샤프트(36)이 상측으로부터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right side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stopper 13, a cutout portion 42 having a deeply cut base is similarly formed, and engaging portions 43 are formed on both sides by fitting the cutout portion 42. It is. As shown in Figs. 4 to 6, the engaging portion 42 is formed with a groove 44 cut out in an arc shape upward, and at the same time, a guide surface 45 extending rearward from the groove 44 is formed. It is. The groove 44 and the guide surface 45 are configured to engage the lock shaft 36 as a locking means for rotating the main stopper 13 from above.

즉, 로크 샤프트(36)이 최상단으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제6도와 같이 주 스톱퍼(13)이 후퇴 위치에 있어서 로크 샤프트(36)은 주 스톱퍼(13)의 홈(44)로부터 탈출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면(45)가 로크 샤프트(36)에 맞닿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로크 샤프트(36)이 하강해 가면 로크 샤프트(36)에 의해 가이드면(45)가 밀려서 주 스톱퍼(13)이 전방으로 회전해 가고, 로크 샤프트(36)이 가이드면(45)로부터 홈(44)로 진입해 간다(제5도 참조). 그 후, 로크 샤프트(36)이 최하단에 달하면 홈(44) 내에 로크 샤프트(36)은 완전하게 진입하는 동시에 보조 스톱퍼(12)에 걸림면(35)는 로크 샤프트(36)의 상방으로의 이동 통로를 막는다. 그리고, 로크 샤프트(36)은 걸림면(35)의 하부에 맞닿거나 혹은 극히 근접한 위치 관계로 되며(제4도 참조), 이 상태가 주 스톱퍼(13)의 제지 위치로 된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lock shaft 36 is raised to the uppermost end, as shown in Fig. 6, the lock shaft 36 is escaping from the groove 44 of the main stopper 13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face 45 is in contact with the lock shaft 36. When the lock shaft 36 descends from this state, the guide surface 45 is pushed by the lock shaft 36, and the main stopper 13 rotates forward, and the lock shaft 36 moves from the guide surface 45. Enter the groove 44 (see FIG. 5). Then, when the lock shaft 36 reaches the bottom end, the lock shaft 36 enters the groove 44 completely, and the engaging surface 35 of the auxiliary stopper 12 moves upward of the lock shaft 36. Block the passage. Then, the lock shaft 36 is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surface 35 or extremely close (see FIG. 4), and this state becomes the papermaking position of the main stopper 13.

이 경우,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스톱퍼(13)을 거쳐서 로크 샤프트(36)에 가해진는 상품(A)의 하중은 코일 스프링(16)의 복원력과 보조 스톱퍼(12)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홈(44)의 후방 모서리는 경사 후방 상방을 향해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로크 샤프트(36)은 홈(44)에 결합하지 않고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주 스톱퍼(13)에 가해지는 상품(A)의 하중은 로크 샤프트(36)을 밀어 올리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로 도시함)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load of the goods A applied to the lock shaft 36 via the main stopper 13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6 and the auxiliary stopper 12. have. That is, the rear edge of the groove 44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rear upward, so that the lock shaft 36 is not coupled to the groove 44 and is applied to the main stopper 1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figure. ) Is configured to act in the direction of pushing up the lock shaft 36 (illustrated by arrows in the figure).

한편, 보조 스톱퍼(12)의 걸림면(35)는 로크 샤프트(36)의 상방으로의 이동 통로를 막고 있으므로 주 스톱퍼(13)에 하중이 걸림으로써 로크 샤프트(36)은 보조 스톱퍼(12)의 걸림면(35)에 맞닿는다. 여기서, 걸림면(35)는 보조 스톱퍼(12)으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로크 샤프트(36)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은 회전축(31) 방향(반경 방향)의 힘과, 걸림면(35)의 원호의 접선 방향의 힘으로 분산되는 형태로 되며, 이러한 주 스톱퍼(13)에의 하중은 보조 스톱퍼(12)를 회전시키지 않고 그 대부분은 걸림면(35)에 의해 받쳐져서 샤시(11)에 전달되고, 나머지 분력을 코일 스프링(16)이나 주위 가이드 부재(63A,63B)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cking surface 35 of the auxiliary stopper 12 is blocking the movement path upward of the lock shaft 36, the load is applied to the main stopper 13, so that the lock shaft 36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stopper 12. Abuts against the engaging surface 35. Here, since the engaging surface 35 forms an arc shape around the rotation shaft 31 by the auxiliary stopper 12, the force appli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lock shaft 36 i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31 (radial direction). Force and the forc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arc of the locking surface 35, and the load on the main stopper 13 is not rotated by the auxiliary stopper 12, and most of the load is caused by the locking surface 35. It is supported and transmitted to the chassis 11, and the remaining component force is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16 and the surrounding guide members 63A and 63B.

따라서, 주 스톱퍼(13)의 홈(44)를 로크 샤프트(36)에 계합시키는 등에 의해 하중을 횡방향으로 분산시키지 안혹 상품을 확실하게 받치도록 되므로 작동 기구(14)를 상승시킬 때 솔레노이드(15)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Therefore, by engaging the groove 44 of the main stopper 13 to the lock shaft 36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ort the product without distributing the load laterally, so that the solenoid 15 when raising the operating mechanism 14 is obtained. The load on) can be reduced.

한편, 솔레노이드(15)는 편평 박형으로 형성되고, 샤시(11)의 솔레노이드 부착부(24)에 유지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5)의 플런저(51)은 선단부가 두 갈래로 형성되고, 이 선단부에 작동 기구(14)의 상단부가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플런저(51)의 선단부와 작동 기구(14)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핀(52)에 의해 플런저(51)과 작동 기구(14)가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5)가 여자되면 코일 스프링(16)에 대항하여 플런저(51)이 흡인되고(상승), 또 소자되면 코일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51)이 인출되고(하강), 작동 기구(14)가 상하 이동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lenoid 15 is formed in the flat thin shape, and is hold | maintained in the solenoid attachment part 24 of the chassis 11. As shown in FIG. The tip of the plunger 51 of the solenoid 15 is formed in two parts, and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mechanism 14 is sandwiched by this tip. In this state, the plunger 51 and the operating mechanism 14 are connected by a pin 52 penetrating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51 and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mechanism 14. When the solenoid 15 is excited, the plunger 51 is attracted (raised) against the coil spring 16, and when the element is removed, the plunger 51 is pulled out (falling)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6. The mechanism 14 is moved up and down.

이 작동 기구(14)는 주 작동 부재(61) 및 보조 작동 부재(60)과, 주 작동 부재(61)에 고정된 상기 로크 샤프트(36)과 이 로크 샤프트(36)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부재(63A,63B)와, 보조 작동 부재(60)에 고정된 상기 보조 샤프트(62)로 구성되어 있다. 주 작동 부재(61)은 내부가 사각형으로 뚫린 집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뚫린 개구(65)에 양 스톱퍼(12,13)의 계합부(33,34)의 우반부가 마주 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 작동 부재(61)은 상단부에서 플런저(51)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에서 코일 스프링(16)에 연결되어 있다.The actuation mechanism 14 is left and righ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ock shaft 36 and the lock shaft 36 fixed to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and the auxiliary operating member 60 and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It consists of a pair of said guide member 63A, 63B, and the said auxiliary shaft 62 fixed to the auxiliary operation member 60. As shown in FIG. The main actuating member 6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zigzag perforated insid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ight half of the engaging portions 33 and 34 of both stoppers 12 and 13 face each other in the pierced opening 65.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is connected to the plunger 51 at the upper end and to the coil spring 16 at the lower end.

이에 의해 주 작동 부재(61)은 솔레노이드(15)가 여자되면 코일 스프링(16)에 대항하여 인상되고, 소자되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인하된다. 또, 제3도와 같이 주 작동 부재(61)과 플런저(51)의 연결부는 주 작동 부재(61)측의 핀 구멍(61A)가 상하로 긴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주 작동 부재(61)은 솔레노이드(15)의 여자로부터 약간 지연되어 인상되게 된다.Thereby, the main operation member 61 is pulled up against the coil spring 16 when the solenoid 15 is excited, and lowered by the coil spring when the element is elemental.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and the plunger 51 is a hole having a vertically long pin hole 61A on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side, whereby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Is slightly delayed from the excitation of the solenoid 15 to be impressed.

주 작동 부재(61)의 상하 중간부에는 로크 샤프트(36)이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로크 샤프트(36)의 우측의 관통 단부는 우측의 가이드 부재(63A)에 계합하고, 개구(65)에 마주 보는 중간부는 양 스톱퍼(12,13)의 계합부(33,43)의 우반부 사이에 위치하고, 좌측의 관통 단부는 좌측의 가이드 부재(63B)에 결합하는 동시에 양 스톱퍼(12,13)의 결합부(33,43)의 좌반부 사이에 위치한다. 주 작동 부재(61)과 함께 상하 이동하는 로크 샤프트(62)는 양 가이드 부재(63A,63B)에 의해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동시에 그 상하 및 전후 이동 범위가 규제된다.The lock shaft 36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so as to penetrate horizontally. The right through end of the lock shaft 36 engages with the right guide member 63A,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facing the opening 65 is between the right half of the engaging portions 33 and 43 of both stoppers 12 and 13. The penetrating end on the left side is located between the left half of the engaging portions 33 and 43 of both stoppers 12 and 13 while being coupled to the guide member 63B on the left side. The lock shaft 62 which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main operation member 61 is guided up and down by both guide members 63A and 63B, and its up and down and front and rear movement ranges are regulated.

한편, 보조 작동 부재(60)은 주 작동 부재(61)에 개구(65)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상단부에서 플런저(51)에 핀(5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작동 부재(60)은 솔레노이드(15)가 여자되면 플런저(51)에 연동하여 인상되고, 소자되면 하강한다. 따라서, 보조 작동 부재(60)은 주 작동 부재(61) 보다 먼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operating member 60 is located in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ning 65 and is connected to the plunger 51 by the pin 52 at the upper end. Then, the auxiliary operation member 60 is pulled up in conjunction with the plunger 51 when the solenoid 15 is excited, and is lowered when the element. Thus, the auxiliary actuating member 60 is configured to rise before the main actuating member 61.

보조 작동 부재(60)의 하단부에는 보조 샤프트(62)가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보조 샤프트(62)는 주 작동 부재(6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개구(65)에 있어서 보조 스톱퍼(12)의 상부 계합 홈(34A) 내에 위치되어 있다.An auxiliary shaft 62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operating member 60 so as to penetrate horizontally. The auxiliary shaft 62 is coupled to the main operation member 6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is located in the upper engagement groove 34A of the auxiliary stopper 12 in the opening 65.

우측의 가이드 부재(63A)는 샤시(11)의 절곡 상승부(23) 외측에 따라서 설치 되고, 이 절곡 상승부(23)에 지지된 양 스톱퍼(12,13)의 양 회전축(31,41)의 단부가 관통함으로써 양 회전축(31,41) 사이에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좌측 가이드부(63B)는 양 스톱퍼(12,13)의 절결부(32,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톱포(12,13)의 양 회전축(31,41)이 관통함으로써 양 회전축(31,41) 사이에 걸치 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가이드 부재(63A,63B)는 후방으로 길게 나와 있으며, 이 부분에 로크 샤프트(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member 63A on the right side is provided along the outside of the bent raised portion 23 of the chassis 11, and the two rotation shafts 31 and 41 of the both stoppers 12 and 13 supported by the bent raised portion 23 are provided. It is fixed so as to span between both rotation shafts 31 and 41 by penetrating the end of. In addition, the left guide portion 63B penetrates both the rotation shafts 31 and 41 of the stop cloths 12 and 13 in the state where the left guide portions 63B are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s 32 and 42 of the both stoppers 12 and 13. It is fixed so as to span between 31 and 41). In addition, the guide members 63A and 63B extend in the rear, and the guide hole 66 which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ck shaft 36 is formed in this part.

가이드 홈(66)은 중간부가 후방으로 약간 만곡된 긴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제6도와 같이 로크 샤프트(36)이 가이드 홈(66)의 상단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 샤프트(36)은 주 스톱퍼(13)의 홈(44)로부터 이탈하여 보조 스톱퍼(12)의 하부 계합 홈(34B)에 계합하고, 역으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샤프트(36)이 가이드 홈(66)의 하단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 샤프트(36)이 하부 계합 홈(34B)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홈(44)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로크 샤프트(36)은 가이드 홈(66) 내에서 완만한 원호 궤적을 그리며 상하 이동한다.The guide groove 66 is a long hol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is slightly curved to the rear, and the lock shaft 36 is the main stopper when the lock shaft 36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66 as shown in FIG. The lock shaft 36 moves away from the groove 44 of the 13 and engages with the lower engagement groove 34B of the auxiliary stopper 12, and conversely,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engaged with the lower end, the lock shaft 36 releases the engagement with the lower engagement groove 34B and is located in the groove 44. The lock shaft 36 moves up and down while drawing a gentle arc trajectory in the guide groove 66.

이 경우,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스톱퍼(12)를 거쳐서 로프 샤프트(36)에 걸리는 상품(A)의 하중(+ 감기 스프링(28)의 힘)은 솔레노이드(15)의 유지력과 가이드 부재(63A,63B)에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가이드 홈(66)의 상단부 앞쪽은 하중의 작용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각도로 되어 있으며, 상품(A)의 하중의 대부분을 가이드 부재(63A,63B)를 거쳐서 샤시(11)로 도피하고, 나머지 연직 방향의 분력을 솔레노이드(15)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잇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load (+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8) of the product A, which is caught on the rope shaft 36 via the auxiliary stopper 12, is the holding force of the solenoid 15 and the guide. It is supported by the members 63A and 63B. That is, the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66 is at an angl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load, and most of the load of the article A is escaped to the chassis 11 via the guide members 63A and 63B, The remaining compon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supported by the solenoid 15.

다음에,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품 반출 장치(5)의 반출 동작을 설명한다. 제4도와 같이, 보조 스톱퍼(12)가 후퇴 위치에 있으며, 주 스톱퍼(13)이 제지 위치에 있는 대기 상태로부터 판매 지령에 의해 솔레노이드(15)가 예시되면 우선 보조 작동 부재(60)이 인상되고, 그에 의해 보조 샤프트(62)가 상승을 개시하므로 상부 계합 홈(34A)의 상부 벽을 보조 샤프트(62)가 밀려서 보조 스톱퍼(12)가 후퇴 위치로부터 제지 위치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동시에 계지면(35)도 회전해 가고, 로크 샤프트(36)의 이동 통로를 개방한다(제5도 참조).Next, the carrying out operation | movement of the goods carrying out apparatus 5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As shown in Fig. 4, when the solenoid 15 is exemplified by the sales instruction from the standby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topper 12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main stopper 13 is in the restraining position, the auxiliary operating member 60 is first lifted. As a result, the auxiliary shaft 62 starts to rise so that the auxiliary shaft 62 pushes the upper wall of the upper engagement groove 34A so that the auxiliary stopper 12 begins to rotate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 the restrained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 gauge surface 35 also rotates, and the moving passage of the lock shaft 36 is opened (see Fig. 5).

이 경우, 걸림면(35)는 보조 스톱퍼(12)의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샤프트(36)이 걸림면(35)에 맞닿고 있어도 보조 스톱퍼(12)는 보조 스톱퍼(62)의 상승에 수반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locking surface 35 has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rotational shaft 31 of the auxiliary stopper 12, even if the lock shaft 36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35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topper ( 12 may rotate smoothly with the rise of the auxiliary stopper 62.

이윽고 핀(52)이 주 작동 부재(61)의 핀 구멍(61A)상단에 맞닿으면 코일 스프링(16)에 대항하여 주 작동 부재(61)도 인상되고, 로크 샤프트(36)이 가이드 부재(63A,63B)에 안내되어 상승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로크 샤프트(36)이 보조 샤프트(62) 보다 지연되어 상승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솔레노이드(15)에 의해 작동 기구(14)를 상승시킬 때 보조 샤프트(62)에 의해 먼저 보조 스톱퍼(12)를 회전 개시하고 나서 로크 샤프트(36)이 상승된다. 따라서, 보조 스톱퍼(12)의 회전 및 로크 샤프트(36)의 상승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고, 작동 기구(14) 및 양 스톱퍼(12,13)의 동작을 보다 원활화할 수 있다.Then, when the pin 52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pin hole 61A of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the main operating member 61 is also raised against the coil spring 16, and the lock shaft 36 is moved to the guide member ( 63A, 63B) to start the ascent. Since the lock shaft 36 is configured to be delayed and ascended above the auxiliary shaft 62, the auxiliary stopper 12 is first rotated by the auxiliary shaft 62 when the operating mechanism 14 is raised by the solenoid 15. After starting, the lock shaft 36 is raised.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stopper 12 and the raising of the lock shaft 36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operation mechanism 14 and both stoppers 12 and 13 can be made smooth.

그리고, 제6도와 같이 로프 샤프트(36)이 상승하면 주 스톱퍼(13)의 홈(44)로부터 로크 샤프트(36)이 탈출하기 때문에 주 스톱퍼(13)은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최하위의 상품(A)의 무게로 주 스톱퍼(13)은 제지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품(A)가 판매된다.Then, as shown in FIG. 6, when the rope shaft 36 rises, the lock shaft 36 escapes from the groove 44 of the main stopper 13, so that the main stopper 13 is freely rotatable, and the lowest product ( At the weight of A), the main stopper 13 is rotated from the papermaking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Thereby, the goods A are sold.

한편, 로크 샤프트(36)은 보조 스톱퍼(12)의 하부 계합 홈(34B)에 계합하고, 보조 스톱퍼(12)는 제지 위치로 유지되고, 그에 의해 상기 최하위 상품(A)의 바로 위의 상품(A)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상품 반출 장치(5)는 상품(A)를 하나씩 판매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ck shaft 36 engages the lower engagement groove 34B of the auxiliary stopper 12, and the auxiliary stopper 12 is held in the restraining position, whereby the product immediately above the lowest product A ( Keep A) Thereby, the goods discharge apparatus 5 sells goods A one by one.

솔레노이드(15)는 100ms 내지 120ms 여자된 후 소자되고, 코일 스프링(16)의 복원력으로 로크 샤프트(36)이 가이드 부재(63A,63B)로 안내되어 하강한다. 로크 샤프트(36)이 하강하면 보조 스톱퍼(12)의 하부 계합 홈(34B)와 로크 샤프트(36)이 하강하면 보조 스톱퍼(12)의 하부 계합 홈(34B)와 로크 샤프트(36)의 계합이 풀리고, 상기 바로 위의 상품(A)의 무게 및 감기 스프링(28)에 의해 보조 스톱퍼(12)는 제지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기 바로 위의 상품(A)가 하방으로 낙하한다. 또, 보조 스톱퍼(12)의 하부 계합 홈(34B)와 로크 샤프트(36)의 계합이 풀리는 동시에, 로크 샤프트(36)이 주 스톱퍼(13)의 가이드면(45)를 밀어서 주 스톱퍼(13)을 후퇴 위치로부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바로 위의 상품(A)는 주 스톱퍼(13)에 받쳐진다.The solenoid 15 is excited after 100 ms to 120 ms, and the lock shaft 36 is guided to the guide members 63A and 63B and lowe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6. When the lock shaft 36 descends, the lower engagement groove 34B of the auxiliary stopper 12 and the lock shaft 36 descend, and the lower engagement groove 34B of the auxiliary stopper 12 engages with the lock shaft 36. Unlocked, the auxiliary stopper 12 rotates from the restraining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product A directly above and the winding spring 28. In connection with this, the goods A directly above are falling below. In addition,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wer engagement groove 34B of the auxiliary stopper 12 and the lock shaft 36 is released, and the lock shaft 36 pushes the guide surface 45 of the main stopper 13 so that the main stopper 13 is released. Rotate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 the restraint position. Thereby, the goods A just above are supported by the main stopper 13.

또, 실시예에서는 보조 스톱퍼(12)의 걸림면(35)를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품 통로(4)측이 낮고, 또 보조 스톱퍼(12)의 회전축(31)을 향하는 선에 대해 직각 혹은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품(A)의 하중에 의해 로크 샤프트(36)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회전축(31)의 방향과, 걸림면(35)의 연재방향, 혹은 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으로 분산되는 형태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ngaging surface 35 of the auxiliary stopper 12 was made into the circular arc shape centering on the rotating shaft 31 in the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goods passage 4 side is low, and the auxiliary stopper 12 is carried out. The inclined surface may be inclined so as to intersect at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facing the rotation axis 31 of the direction. In this case, the force ex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ck shaft 36 by the load of the product A i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31,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cking surface 35, or the direction falling from it. It is in a dispersed form.

즉, 로크 샤프트(36)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보조 스톱퍼(12)의 회전축(31)방향 이외에는 보조 스톱퍼(12)의 내부를 향하지 않게 되므로 이런 주 스톱퍼(13)으로의 하중은 보조 스톱퍼(12)를 회전시키지 않고 대부분은 마찬가지로 걸림면(35)에 의해 받쳐지게 된다.That is, since the force applied from the lock shaft 36 does not face the inside of the auxiliary stopper 12 except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31 of the auxiliary stopper 12, the load to the main stopper 13 is not applied to the auxiliary stopper 12. Most of them are similarly supported by the locking surface 35 without rota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따르면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부재끼리의 연결 개소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작동을 확실하고 또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th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members can be reduced,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operation can be made sure and stable. Has the effect.

또 청구항3의 발명에 따르면, 상품의 반출 기능에 지장을 생기게 하지 않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 전체의 깊이 치수를 짧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자동 판매기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without disturbing the carrying out function of the goods, and the depth dimension of the entire apparatus can be shortened, and further, the vending machine can be made thinner. Have

또 청구항4의 발명에 따르면, 다른 판매 상품으로부터 받는 힘을 보조 스톱퍼와 구동 수단의 사이의 지지 부재에 도피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수단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 전체의 깊이 치수를 짧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자동 판매기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since the force received from other merchandise can be escaped to the support member between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drive means, the load of the drive means can be reduced and the depth dimension of the whole device can be shortened. Furthermore, it has the effect which can achieve thinning of a vending machine.

또, 청구항5의 발명에 따르면, 보조 스톱퍼의 계합 홈에, 보조 스톱퍼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기능과, 보조 스톱퍼의 돌출 각도를 규제하는 기능을 아울러 갖고, 이로써 보조 스톱퍼를 제지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부분을 단순한 구조로, 그리고 소형화하면서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engaging groove of the auxiliary stopper has a function of rotating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papermaking position and a function of regulating the protruding angle of the auxiliary stopper, whereby the auxiliary stopper can be held in the papermaking position. At the same time, this par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achieved while miniaturizing.

또, 청구항6의 발명에 따르면, 작동 기구가 구동 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후방으로 연장하는 아아부 등을 형성하지 않고 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장치 전체의 깊이 치수를 축소하여 자동 판매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since the operating mechanism is movable up and down by the driving means, the apparatus can be configured without forming a back portion or the like that extends backward as in the prior art, and the depth dimension of the whole apparatus can be adjusted. By reducing the size, the vending machine can be thinned.

특히, 작동 기구가 하강한 상태에서 보조 스톱퍼의 걸림면의 걸림 수단의 상방으로의 이동 통로를 막으므로 걸림 수단은 걸림면에 맞닿는다. 그리고, 걸림면은 걸림 수단의 상방으로의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걸림 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의 힘으로 분산되는 형태로 되며, 이런 주 스톱퍼로의 하중은 보조 스톱퍼를 회전시키지 않고 대부분은 걸림면에 의해 받쳐지게 된다. 따라서, 주 스톱퍼를 걸림 수단에 계합시키는 등에 의해 하중을 횡방향으로 분산시키지 않고 상품을 확실하게 받치게 되며, 작동 기구를 상승시킬 때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locking means abuts against the locking surface because the moving passage upward of the locking means of the locking surface of the auxiliary stopper is blocked in the state where the operating mechanism is lowered. Since the locking surface has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stopper upward of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surface is distributed by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cking means, and the load to the main stopper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Most of them are supported by the locking surface. Therefore, the product can be reliably supported without distributing the loa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engaging the main stopper with the locking means, and the load when raising the operating mechanism can be reduced.

또, 계지면이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걸림 수단이 걸림면에 맞닿아 있어도 보조 스톱퍼는 작동 기구의 상승에 수반하여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구동 수단에 의한 작은 힘으로 작동 기구 및 양 스톱퍼의 동작을 확실하고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surface has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stopper, the auxiliary stopper can smoothly rotate with the rise of the operating mechanism even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smoothly operate the operating mechanism and both stoppers with a small force by the driving means as a whole.

또, 청구항7의 발명에 따르면,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설치된 걸림면이 상품 통로 측이 낮고 또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향하는 선에 대해서 직각 혹은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경사적 있으므로 상품의 하중에 의해서 걸림 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회전축 방향의 힘과 걸림면의 연장 방향, 혹은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으로 분산시키는 형태로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7, the locking surface provided on the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is inclined so as to intersect at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line of the product passage side and towar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auxiliary stopper from the locking means by the load of the product. The force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 the form of dispersing by the forc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cking surface, or the force away from it.

즉, 걸림 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 방향 이외는 보조 스톱퍼 내부로 향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주 스톱퍼로의 하중은 보조 스톱퍼를 회전시키지 않고 대부분은 걸림면에 따라서 받쳐지게 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주 스톱퍼를 걸림 수단에 계합시키는 등에 의해 하중을 횡방향으로 분산시키지 않고 상품을 확실하게 받치게 되며, 마찬가지로 작동 기구를 상승시킬 때의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the force applied from the locking means is not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auxiliary stopper except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stopper, so that the load to the main stopper is mostly supported along the engaging surface without rotating the auxiliary stopper. Therefore, the product can be reliably supported without distributing the loa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engaging the main stopper with the locking means, and similar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when raising the operating mechanism.

또, 청구항8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부가하여 걸림 수단이 작용 수단 보다 지연되어 상승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구동 수단에 의해 작동 기구를 상승시킬 때 작용 수단에 의해 먼저 보조 스톱퍼를 회전 개시하고 나서 걸림 수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스톱퍼의 회전 및 걸림 수단의 상승을 원활하게 행하고, 작동 기구 및 양 스톱퍼의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8,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delayed and rises above the acting means, so when the actuation means is raised by the driving means, the actuation means first starts to rotate the auxiliary stopper, Can be raised.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lifting of the locking means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echanism and both stoppers can be made smoother.

Claims (8)

상품 통로로 돌출한 제지 위치와 상기 상품 통로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를 상하로 배치하고,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킨 때 상기 주 스톱퍼는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 스톱퍼가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한 때 상기 주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켜서 상기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 상품을 반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톱퍼와 상기 주 스톱퍼는 각 피봇축에 각각 자유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보조 스톱퍼와 상기 주 스톱퍼를 회전시키는 작동 수단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보조 스톱퍼 및 상기 주 스톱퍼에 결합 및 이탈 가능하게 구성된 작동 부재를 갖고, 상기 작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에는 상기 주 스톱퍼로부터 이탈하고 또 상시 보조 스톱퍼에 결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보조 스톱퍼로부터 이탈하고 또 상기 주 스톱퍼에 결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When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rotatably pivoted between the papermaking position protruding into the goods passage and the retreat position retracted from the goods passage are disposed up and down, the main stopper is turned on when the auxiliary stopper is rotated to the papermaking position. A merchandise dispensing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which rotates to a retracted position and rotates the main stopper to the papermaking position when the auxiliary stopper rotates to the retracted position, thereby discharging the lowest goods in the goods passage. The main stopper is rotatably attached to each pivot shaft in a free state, and the actuating means for rotating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hile being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Having a configured operating member, when moving the operating member up and down Is configured to deviate from the main stopper and to always engage with the auxiliary stopper to rotate it to the rest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o move away from the auxiliary stopper and to engage the main stopper and to rotate it to the restraint position. A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 작동 부재에 가해지을 상기 보조 스톱퍼 및 상기 주 스톱퍼의 상기 양 지지축 사이에 걸치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2.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operating member is supported and attached to said operating member so as to span between said auxiliary stopper and said support shafts of said main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하 이동시에 상기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계합하여 이를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작동 부재와, 그 작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The movable memb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member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engaged with the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when the up and down is moved, and a solenoid for vertically moving the operating member. A product dispensing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which is connected directly to a plunger of a soleno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에 대한 상기지지 부재의 지지면이 상기 다음 판매 상품으로부터 상기지지 부재에 작용하는 부하의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면 내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The product of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with respect to the actuating member is configur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acting on the support member from the next sale product. Expo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에는, 제지 위치에서 상기 작동 부재가 계합하는 동시에 상기 주 스톱퍼의 회전 방향에 거의 직교하고 또 상기 작동 부재를 협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결합면을 갖는 걸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2. The stop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having a pair of engaging surfaces arranged to engage the operating member at a papermaking position and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stopper and to sandwich the operating member.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작용 수단과 걸림 수단을 갖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룬 걸리면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주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상기 걸림면은 상기 걸림 수단의 상방으로의 이동 통로를 막는 동시에, 상기 작동 부재가 상승한 때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상기 걸림면은 상기 걸림 수단의 이동 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2. The movable memb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ctuating member provided with an actuating means and a locking means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actuating member up and down; And an actuating means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catching means rotates the main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while the actuating member is lowered. The surface prevents the movement passage upward of the locking means, and when the operating member is raised, the actuating means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and the locking surface opens the movement passage of the locking means. A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a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상품 통로로 돌출한 제지 위치와 상기 상품 통로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보조 스톱퍼 및 주 스톱퍼를 상하로 배치하고,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킨 때 상기 주 스톱퍼는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 스톱퍼가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한 때 상기 주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켜서 상기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의 상품을 반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작용 수단과 걸림 수단을 갖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기구와, 상기 작동 기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보조 스톱퍼의 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품 통로측이 낮고 또 상기 보조 스톱퍼의 회전축을 향한 선에 대해 직각 혹은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경사진 걸림면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후퇴 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주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상기 걸림면은 상기 걸림 수단의 상방으로의 통로를 막는 동시에, 상기 작동 기구가 상승한 때,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보조 스톱퍼를 상기 제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상기 지지면은 상기 걸림 수단의 이동 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The main stopper when the auxiliary stopper and the main stopper rotatably pivoted between the papermaking position protruding into the goods passageway and the retreat position retreating from the goods passageway and rotated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papermaking position. The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of the vending machine which rotates to the retracted position and rotates the main stopper to the paper-making position when the auxiliary stopper rotates to the retracted position, thereby discharging the lowest goods in the product passage. And an actuating mechanism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actuating mechanism up and down, and a line provided at the base of the auxiliary stopper and having a lower side of the product passage and towar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auxiliary stopper. The engaging surface inclined to intersect at right angles or acute angles; In the state, the actuating means rotates the auxiliary stopper to the retracted position, the catching means rotates the main stopper to the restraining position, and the catching surface blocks a passage above the catching means, And said actuating means rotates said auxiliary stopper to said restraining position when said actuating mechanism is raised, and said support surface opens a moving passage of said catching means. 제7항에 있어서, 걸림 수단은 작용 수단에 의해 지연되어 상승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8.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rise by being delayed by the acting means.
KR1019950000669A 1994-01-19 1995-01-17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KR014452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4176 1994-01-19
JP00417694A JP3316291B2 (en) 1994-01-19 1994-01-19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125A KR950024125A (en) 1995-08-21
KR0144520B1 true KR0144520B1 (en) 1998-08-17

Family

ID=1157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669A KR0144520B1 (en) 1994-01-19 1995-01-17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16291B2 (en)
KR (1) KR0144520B1 (en)
CN (1) CN1071039C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65B1 (en) * 2001-09-10 2009-03-2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Medicine feed apparatus
KR20160102383A (en) * 2014-01-10 2016-08-30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oduct payo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5331B2 (en) * 2004-06-01 2009-06-2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KR100760383B1 (en) * 2007-05-18 2007-09-19 백강정보통신(주) A pushing-out goods apparatus for a self-service stand
CN103440710B (en) * 2013-04-08 2015-12-16 天津雷云峰科技有限公司 The vertical warehouse structure of a kind of new beverage vending machine
KR102207594B1 (en) * 2014-01-10 2021-01-26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oduct-dispensing device
CN109422099B (en) * 2017-08-31 2020-12-15 富士电机株式会社 Commodity discharg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65B1 (en) * 2001-09-10 2009-03-2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Medicine feed apparatus
KR20160102383A (en) * 2014-01-10 2016-08-30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oduct payo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125A (en) 1995-08-21
CN1071039C (en) 2001-09-12
CN1112264A (en) 1995-11-22
JP3316291B2 (en) 2002-08-19
JPH07210735A (en) 199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520B1 (en)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US5234209A (en) Dispensing unit for paper currency
JP2002288732A (en) Commodity discharge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US6199965B1 (en) Commodity storage apparatus permitting ready supplement of commodities
US4367826A (en)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butment stop
KR100423476B1 (en) Commodity receiving and paying out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3182305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elivery device
JP3800845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ispensing device
JP3365002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elivery device
JP4336640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ispensing device
JP4146099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JP3709734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JP2007226364A (en) Merchandise dispens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JP4280432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JP3046934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device
JP4009456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KR0117727Y1 (en) Article deliver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723394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elivery device
JP3711782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JP3987621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KR970006651B1 (en) Commodity storing column
JPH0877444A (en) Article discharging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3572643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elivery device
JP3711783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ispensing device
JPH0721457A (en) Commodity carrying-out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