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087B1 - 효과부가장치 - Google Patents

효과부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087B1
KR0122087B1 KR1019930020966A KR930020966A KR0122087B1 KR 0122087 B1 KR0122087 B1 KR 0122087B1 KR 1019930020966 A KR1019930020966 A KR 1019930020966A KR 930020966 A KR930020966 A KR 930020966A KR 0122087 B1 KR0122087 B1 KR 0122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input
program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925A (ko
Inventor
데쯔이찌 나까에
구니히로 마쯔바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54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756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435414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75655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940009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24Selecting circuits for selecting plural preset register stop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효과부가장치는 메모리용량의 증대, 조작자의 증대를 억제하고, 입력음향신호에 대하여 보다 많은 종류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또, 부여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부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2) 및 마이크(4,102,303,403)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부여하는 효과의 종류는 제1효과장치(44,154) 및 제2효과장치(45,155)에 미리 설정됨과 동시에, 각 효과장치에 어떠한 형태로 음향신호가 공급되는가도 효과 1 입력선택(41,151) 및 효과 2 입력선택(42,152)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효과가 부여된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시키는가를 직접음제어 스위치(43,153), 효과 1 L·R 출력 스위치(52,162) 및 효과 2 L·R 출력 스위치(51,161)에 의해 설정된다.
이들 입력형태, 효과의 종류 및 출력형태는 리스트 표시부(16,17)에 표시되고, 이 리스트 표시부(16,17)를 보면서 사용자는 텐키(11)를 조작하여 원하는 입력형태 및 효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효과부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의 전자악기의 외관도.
제2도∼제7도는 제1도의 전자악기 리스트 표시부의 표시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동실시예의 전자악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그 외관도.
제9도는 동실시예의 전자악기에 부가된 효과부가장치의 블록구성도.
제10도는 동실시예의 데이터 ROM이 기억하고 있는 헤더 데이터나 파라미터 데이터의 배치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동실시예의 효과부가장치에 의해서 실현되는 효과부여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12도는 동실시예의 효과 제너럴 루틴의 일부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13도는 동실시예의 효과 제너럴 루틴의 일부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14도는 동실시예의 XRAM의 작업영역이나 데이터 격납영역 등을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도시하는 도면.
제15도는 동실시예의 YRAM의 작업영역이나 데이터 격납영역 등을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동실시예의 입력부처리의 서브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17도는 동실시예의 명령변경처리의 서브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18도는 동실시예의 효과변경처리의 서브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1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실시예의 효과 마이크장치의 정면도.
제20도는 제23도의 효과 마이크장치의 측면도.
제21도는 동실시예의 조작패널의 상세한 구성도.
제22도는 동실시예의 단자패널의 상세한 구성도.
제23도는 동실시예의 효과부가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4도는 동실시예의 효과부가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효과부여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3실시예의 마이크장치의 측면도.
제26도는 동실시예의 조작패널의 상세한 구성도.
제27도는 동실시예의 효과부가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8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4실시예의 효과 마이크장치의 정면도.
제29도는 동실시예의 효과부가장치의 블록구성도.
제3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5실시예의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의 정면도.
제31도는 동실시예의 효과부가장치의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키보드 4,102,303,403 : 마이크
44,154 : 제1효과장치 45,155 : 제2효과장치
41,151 : 효과 1 입력선택 42,152 : 효과 2 입력선택
43,153 : 직접음제어 스위치 52,162 : 효과 1 L·R 출력 스위치
51,161 : 효과 2 L·R 출력 스위치 16,17 : 리스트 표시부
11 : 텐키
본 발명은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디레이, 리버브 등의 음향효과(이하, 효과라고 함)를 부가가능한 효과부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악기 등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여러가지 음향효과, 예를 들면 디스토션, 코러스, 디레이, 리버브 등을 부여하는 이른바 멀티 효과장치게 자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음향효과에 대해서 BBD, 트랜지스터 등의 아날로그 소자를 사용하여 단일 효과를 부가하는 구성이였지만, 근래에 있어서 음향신호 발생장치의 디지털화에 따라, 이 효과부가장치도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디지털처리를 하여 효과를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우기 최근에는 보다 고급의 음질로 하기 위해서 복수의 다른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거나, 혹은 입력되는 2개의 음향신호에 대해서 동일 효과를 부가하거나 또는 각각 다른 처리를 부가하거나 하는 것, 그위에 이들의 처리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아날로그식 효과부가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효과의 종류 또는 부가의 형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복수장치의 접속을 변경시켜야만 하고, 엄청난 노력을 필요로 했다.
또한 최근에는 부여하는 효과의 종류가 능어나고, 각 종류마다 효과부가장치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러한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
한편 상기 결점을 해소하는것으로서 디지털식의 효과부가장치가 개발되고 있고, 이 디지털식의 효과부가 장치라면 각종 효과는 프로그램으로서 미리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고, 선택된 효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을 판독하도록 하면 되고, 아날로그식과 같은 대규모의 것으로는 안된다.
그렇지만 디지털식의 효과부가장치에 있어서도 최근과 같이 부여하는 ㅎ과의 종류가 능어나고, 더구나 선택된 효과 부여의 형태, 예를들면 복수의 입력에 대해서 어떻게 부여하는 것인가, 그리고 각각 효과가 부여된 음향신호를 어떨게 출력시킬 것인가 등이 다양화하면 각종 효과, 부여형태 하나하나마다 각각 독립한 프로그램을 갖지 않으면 안되고, 기억해야할 프로그램의 양이 팽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대용향의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고, 어떻게 해도 비용이 비싸지고, 판독시간의 증대에 관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택하는 효과나 형태가 증대하면 그것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자(예를들면, 스위치 종류)가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메모리용량의 증대, 조작자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보다 많은 종류의 효과를 부여하는 수 있고, 또 부여의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부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음향효과 각각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이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외부에서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이별ㄱ수단에서 입력된 음향신호에 대해서 음향효과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한 효과부가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ㅎ료과의 종류나 형태의 종류를 가변시켜도, 하나하나 독립한 프로그갬을 갖게하는 것에 비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의 용량이나 효과나 형태를 선택하는 조작자가 적고, 비용도 저감하낟, 또한 동일용량의 메모리이면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보다 많은 종류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또 보다 많은 부여의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리용량의 증대, 조작자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복수의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보다 많은 종류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또 부여의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부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입력되는 복수의 음향신호 각각에 대해서 음향효과의 부여 형태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상기 입력된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음향효과 각각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음향효과가 부여된 상기 음향신로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상기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 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에서 각각 우너하는 입력형태 프로그램, 효과 프로그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외부에서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입력형태 프로그랩, 효과 프로그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복수의 음향신호에 대해서 음향효과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한 효과부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종 효과, 부여형태 하나하나마다 각각 독립한 프로그램을 가질 필요가 없고, 데이터 메모리에 효과의 종류나 부여형태를 선택가능한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고, 선택수단에 의해 새로운 효과의 부여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데어터를 데이터 메모리에서 판독하여 작업 메모리에 세트하고, 이것을 서브루틴 호출하여 1개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행하고 있으므로,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효과의 조율나 형태의 종류를 변화시켜도 하나하나 독립한 프로그램을 갖게 하는 것에 비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텐키나 선택키를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효과나 부여형태가 증대해도 효과나 부여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자의 수를 적게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용량의 메모리인 경우에도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보다 많은 종류의 효과를 부요할 수 있고, 또 보다 많은 부여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보다 많은 종류의 효과중에서 원하는 효과를 선택하여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효과의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한 효과부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ㅂ혹수의 음향효과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이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프로그램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입력된 음향신호에 대해서 음향효과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하는 신호처리수단을 장치본체내에 내장함과 동시에 그 장치 외면상에, 상기 선택수단의 선택동작을 외부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표시패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호 하는 효과부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보다 많은 종류의 효과중에서 원하는 효과를 선택하여 부여할 수 있다. 더구나 이 선택할 수 있는 효과는 표시패널에 기록하고 있으므로, 어떠한 종류의 효과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인가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 내지 특징은 첨부의 도면과 함께 본건의 적절한 실시예에 대한 기재에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 제1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게되는 효과부가장치(디지털 효과장치)가 부착된 전자악기 제1실시예의 외관도이다. 이 제1실시예는 복수의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효과의 죵류나 형태의 종류를 텐키의 지정에 의해 가변시키는 예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전자악기 본체이고, 전가악기 본체(1)에는 그 전면츠겡는 키보드(2), 스피커(3a, 3b)가 배치됨고 동시에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라고 함)(4)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자악기 본체(1)의 전면측에는 복수의 음색/효과의 각각 하나를 대응하는 NO.(2자리수의 수치)에 의해 선택하는 텐키(11), 텐키(11)를 음색 또는 효과로 전환하는 전환스위치(12), 전원스위치(13), 키보드 볼륨(14) 및 마이크 볼륨(15)이 설치되어 있다.
전환 스위치(12)는 도면중 왼쪽 버튼을 누르면 텐키(11)를 음색(TONE BANK)측으로 전환하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텐키(11)를 효과(EFFECT BANK)측으로 전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스위치(13)는 전자악기 본체(1)의 전원을 ON/OFF하는 외에 「오디오」,「가라오케」,「가이드」드으이모드를 선택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키보드 볼륨(14)은 키보드(2)에 의해 지정된 키코드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악음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고, 마이크 볼륨(15)은 마이크(4)의 출력레벨을 조정한다.
그리고 전자악기 본체(1)의 전면측에는 음색명 NO. 리스트 표시부(16) 및 효과명 NO. 리스트 표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음색명 NO. 리스트 표시부(16)는 지정가능한 각종 음색을 NO.에 의해 0에서 99까지의 100종류를 리스트화하여 표기(여기서는 인쇄)한 것이다. 또한 효과명 NO. 리스트 표시부(17)는 지정가능한 각종 효과를 2자루수의 NO.에 의해 0에서 59까지 60종류를 리스트화하여 표시(마찬가지로 인쇄)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이하 제2도~제7도와 같이 도시된다.
상기 각 도면중 *는 특정의 음색만으로 효과를 부여하는 것, K는 키보드(2)의 출력만으로 효과를 부여하는 것, M은 마이크(4)의 출력만으로 효과를 부여하는 것, 그리고 V는 보코더를 선택하는 모드이다. 보코더란 예를들면 마이크(4)의 음성출력에 대응하여 키보드(2)의 악음신호 스펙트르를 가변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것과 같은 형태이다,
여기서 제8도는 텐키(11)에서 지정한 2자리수의 수치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18)를 배치한 경우의 전자악기 본체(1)의 외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텐키911)는 음색 및 효과명 NO.를 2자리수의 수치를 지정하는 걱에 의해 선택가능하지만, 제1도의 예에서는 지정한 수치를 액정표시부918)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제9도는 제1도에 도시되는 전자악기 본체(10ㅔ 부가도니 효과부가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효과부가장치는 텐키(11), 입력부(21), 제어부(22), 데이터 ROM(23), XRAM(24), YRAM(25), 외부 RAM(26), 연산부(27) 및 출력부(28)를 갖고 있다.
텐키(11)는 음색을 선택하는 기능 외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효과중에서 2자리수의 수치에 대응하는 키를 눌러 효과 번호(효과 NO.)를 지정하는 것이고, 텐키(11)에서의 신호는 제어부(22)에 입력된다. 입력부(21)는 복수의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키보드(2)에서의 디지털 악음신호와, 마이크(4)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 2개의 입력신호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고(제9도 참조), 아날로그 필터와 AD변환기를 사용한 아날로그 신호입력회로와, 디지털 파형 데이터 입력회로 2계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키보드(2)에서의 디지털 악음신호는 디지털 파형 데이터 입력회로에 의해 받아 들이고, 마이크(4)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입력회로에 의해 받아들이고 있다.
제어부(22)는 텐키(11)에 의해 지정된 효과 번호를 판도가여 데이터 ROM(23)에서 대응하는 헤더 데이터를 판독하고, 입력부(21)나 출력부(28) 및 XRAM(24), YRAM(25)의 어드레스나 데이터를 제어한다, 데이터 ROM(23)은 복수의 효과나 그 부여형태에 ㅐㄷ응하는 헤더 데이터나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즉, 입력된 2개의 음향신호 각각에 대해서 효과 부여의 형태에 대응한 입력형태 프로그랩, 입력된 2개의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효과 각각에 대응한 효과 프로그램 및 효과가 부여된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ROM(23)은 프로그램 기억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그리고 상세하게는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 효과프로그램 기억수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상당한다.
여기서 제10도에 데이터 ROM(23)이 기억하고 이쓴ㄴ 헤더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제10도에 있어서 좌측의 수치는 ROM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또한 괄호안의 수치는 작업영역의 어드레스를 8비트 단위로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들면 「효과 1」은 3열에 대응하는 8비트×8개의 영역으로 구성되고, 이중 호출어드레스, 데이터 ROM 오프셋 …등이 지정된다. 그리고 이들에 의해 「효과 1」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확보된다. 「효과 2」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효과 1」은 예를들면 리버브,「효과 2」는 예를들면 디레이라고 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것처럼 배치되고, 「효과 1」 및 「효과 2」는 텐키(11)에 의해 2자리수의 수치로서 지정된다. 제10도에서는 「효과 1」 및 「효과21」밖에 도시되지 않지만. 전체에서는 60종류의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이 격납되어 있다.
XRAM(24), YRAM(25)은 효과부여를 위한 연산이나 입출력제어를 위한 루핀 어드레스의 기억, 입출력데이터의 일시 저장등에 사용되는 이른바 작업 RAM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외부 RAM(26)은 연산부(27)가 효과부여를 위한 신호처리(예를들면, 지연용 RAM으로서 사용하여 신호를 지연시키는 등의 처리)를 할ㄸㅒ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연산부(27)는 승산기와 가산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어큐뮬레이터(ACC)를 갖고 있고, 실제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연산처리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큠뮬레이터는 데이터처리의 중심이 되는 누산기로, 데이터나 계산결과를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다. 출력부(28)는 DA 변환기와 아날로그 괼터 및 출력용 앰프와 스괴커를 구비하고, 연산부(27)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DA 변환하 고, 아날로그 신호를 앰프로 중폭하여 스퍼커(3a,3b)에서 방음한다. 상기 제어부(22), XRAM(24), YRAM(25), 외부 RAM(26) 및 연산부(27)는 전체로서 신호처리수단(30)을 구성한다.
제 8도에 도시되는 전자악기의 경우는 제어부(22)에 또 액정표시부(18)가 접속된다.
다음에 제11도는 본 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효과부여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11도에 있어서 마이크(4) 및 키보드(2)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음향신호를 각각 발생하여 출력하고 있다. 마이크(4)는 예를들면 본 장치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소리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마이크(4)에서는 아날로그 음향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키보드(2)에서는 디지덜 악음신호가 출력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1도에서는 키보드(2)에서의 신호는 단지 키코드가 출력피는 것이 아니고, 키코드에 따른 악음신호가 생성지어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된다고 하는 의미이다.
마이크(4) 및 키보드(2)에서의 신호는 효과 1 입력선택(41), 효과 2 입력선택(42) 및 직접음제어 스위치(43)에 입력된다. 효과 1 입력선택(41)은 디지털 소프트 스위치로서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적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마이크(4) 및 키보드(2)에서의 신호중 하나, 또는 양자를 선택하여 후단의 제 1효과장치(EFFECTER)(44)에 출력한다. 제 1효과장치(44)는 효과 1(EFFECTI)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 경우는 효과1 입력선택(41)에 의해 선택된 입력신호에 대해서 효과 1이라고 하는 음향효과를 부여한다.
제 1효과장치(44)의 출력은 효과 2 입력선택(42)에 입력되어 있고, 효자 2 입력선택(4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4) 및 키널드(2)에서의 신호가 직접 입력되어 있으므로, 결국 마이크(4), 키보드(2)에서의 신호 및 제 1효과장치(44)에서의 3개의 신호가 효과 2 입력선택(42)에 입력되어 있게 된다. 효과 2 입력선택(42)은 디지털 소프트 스위치로서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적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마이크(4)에서의 신호, 키보드(2)에서의 신호 또는 제 1효과장치(44)에서의 신호중 1개, 혹은 2개의 신호 또는 3개의 신호를 선택하여 후단의 제2효과장치(45)에 출력찬다. 제2효과장치(45)는 효과 2(EFFECT2)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 경우는 효과 3 입력선택(42)에 의해 선택된 신호께 대해서 효과 2라고 하는 음향효과를 부여한다.
제2효과장치(45)의 출력은 퍼드 백 스위치(46)를 개재하여 소정의 퍼드 백 게인을 얻는 승산기(47)을 통해 제 1효과장치(44)의 입력측으로 피드 백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 2효과장치(45)의 출력에 재한 피드 백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퍼드 백 효과를 얻고자 할 때는 퍼드 백 스위치(46)를 ON한다.
또한 제2효과장치(45)의 출력은 효과 2 L· R 출력 스위치(51)를 개재하여 출력라인(OUTPUTO, OUTPUTI)의 신호에 가산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효과장치(44)의 출력은 효과 1 L· R 출력 스위치(52)를 개재하여 출력라인(OUTPUTO, OUTPUTI)의 신호에 가산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마이크(4) 및 키보드(2)에서의 신호는 직접음제어 스위치(43)을 개재하여 출력라인(OUTPUTO,OUTPUTI)의 신호애 가산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효과 2 L· R 출력 스위치(51), 효과 1 L· R 술력 스위치(52) 및 직접음제어 스위치(43)는 전체로서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출력형태 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현하는 부분에 상당하는 것으로, 효과가 부여된 상기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한다. 예를들면, 직접음제어 스위치(43)가 ON, 효과 2 L · R 출력 스위치(51) 및 효과 1 L· R 출력 스위치(52)가 OFF일때는 마이크(4) 및 키보드(2)에서의 신호가 직접 출력라인(OUTPUTO,OIrTPUTl)에서 나온다.
또한 효과 2 L · R 출력 스위치(51), 효과 1 L · R 출력 스위치(52) 및 직접음제어 스위치(43)중 2개 이상이 ON일때는 그 ON한 2개 이상의 스위치를 개재하고, 마이크(4) 및 키보드(2)에서의 신호, 제 1효과장치(44)의 출력 또는 제2효과장치(45)의 각 출력중 선택된 2개 이상의 신호가 혼합되어 출력라인(OUTPUT0, OUTPUTI)에서 나온다.
다음에 본 장치에 있어서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효과 제너럴 루틴
제12도, 제13도는 효과 제너럴 루틴의 플로차트이다. 또한 제14도는 XRAM (24)의 작업영역이나 데이터격납영역 등을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도시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제15도는 YRAM(25)의 작업영역이나 데이터 격납영역 등을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스텝 S10에서 시스템 기동시의 초기효과 설정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복수의 EFFECT BANK 중에서 0(제2도 참조)를 설정하여 이니셜 처리를 한다. 이니셜 처리에서는 작업용 RAM(다시 말해, 제9도의 XRAM(24), YRAM(25) 및 외부 RAM(26)을 삭제함과 동시에, 효과처리를 위한 효과 0에 해당하는 데이터 ROM(23)의 영역에서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포맷의 헤더 데이터를 판독하고, 각각의 데이터를 소정의 영역에 세트한다. 이것에 의해 초기상태에서는 입력신호에 대해서 이니셜한 효과 0번호에 대응하는 효과가 부여된다. 그리고 액정표시부(18)가 부가되어 있을 때는 이 액정표시부(18)에 0이라고 표시한다.
또한 스텝 S10에서는 각 효과의 이니셜 처리를 하고, 그 외의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ROM(23)에서 판독하여 XRAM(24), YRAM(25)의 소정 영역에 세트한다.
그리고 XRAM(24)의 (0)어드레스~(219)어드레스는 효과장치·작업영역이 되고, (221)어드레스. (222)어드레스는 시스템 작업영역으로서 확보된다. 또한 YRAM(25)의 (0)어드레스~(73)어드레스는 효과장치 작업영역으로서 좌보된다.
계속해서 스텝 S12에서 제어부(22)는 텐키(11)의 스캔을 힘과 동시에, 스텝 S14에서 효과번호를 판단(판정)하고, 현존의 효과번호에서 변화가 있으면 스텝 S16으로 이행하여 명령변경 처리(서브루틴에서 후술)를 한다. 한편, 효과번호에 변화가 없으면 스텝 S16을 뛰어넘어 스텝 S18로 이행, 즉 통상의 효과처리 루틴으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입력부처리(서브루틴에서 후술)를 한다 이것은 복수의 입력신호(마이크(4) 및 키보드(2)에서의 신호)에 대해서 필요한 신호처리를 하고, 그 처리결과를 각각 XRAM(24), YRAM(25)의 소정 영역에 격납해 두는 것이다. 계속해서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효과 1 처리의 준비로서 XRAM(24), YRAM(25)에 설정된 각 ROM, RAM의 효과 1용 어드레스 제어 데이터(START,END,WIDTH,POLNT,OFFSET,LOOP 등)를 각각 어드레스 제어부에 세트하고, 효과 0의 연산처리를 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계속해서 스텝 S22에서 효과 1의 입력설정 루틴을 호출하는 준비를 위해, XRAM(24)의 (230)어드레스에 있는 입력설정 루틴 1 어드레스를 서브루틴 호출 레지스터에 넣고, 스텝 S24에서 입력설정 루틴을 호출한다. 이것에 의해 제 5도의 효과 1 입력선택(41)의 ON/OFF 상태가 설정되고, 이 설정상태에 의거하여 아날로그 입력과 디지털 입력을 선택 또는 가산하여 효과 1의 입력으로서 어큐뮬레이터(ACC)로 복귀한다.
이어서 스텝 S26으로 이행하고, 어큐뮬레이터(ACC)의 출력에(제2효과장치(45)의 출력) x (퍼드 백 레벨)의 결과를 더해 제 1효과장치(44)의 입력(다시 말해, 어큐뮬레이터(ACC)에 더한다)으로 한다. 따라서 이 경우의 입력 데이터는 연산부(27)의 어큐뮬레이터(ACC)에서 작성된다. 여기서 퍼드 백 레벨은 XRAM(24)의 (225)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다.
계속해서 스텝 S28에서는 XRAM(24)의 (228)어드레스에 격납된 효과 1 호출 어드레스를 서브루틴 호출 레지스터에 넣고, 리버브 등의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 1 처리루틴을 호술하는 준비를 한다. 여기서 효과번호가 0이면 Small Hall, 즉 작은 홀의 음장감(音場感)을 내기 위한 리버브, 디레이 등의 효과를 부여하는 처리루틴을 호출하는 준비를 한다.
계속해서 스텝 S30에서 효과 1 처리루틴을 호출하고(다시말해, 서브루틴이 판독되고), 효과 1을 부여하는 처리를 찬다. 이것에 의해 제 1효과장치(#)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효과 1의 처리내에서는 입력데이터(어퓨뮬레이터)에서 소정의 절차에 따라 출력데이터가 연산된다. 그후 스텝 532에서 이 출력데이터, 다시 말해 제 1효과장치(44)(효과 1)의 출력을 XRAM(24)에 있어서 (2제)어드레스의 효과 1 LEPT 출력기억영역, (%9)어드레스의 효과 1 RIGHT 출력기억영역에 각각 격납한다. 이렇게 해서 제 1효과장치(44)에 의해 효과 1을 부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제13도로 이행하고, 스텝 S34에서 효과 2 처리의 준비로서 효과 1용의 각 ROM, RAM 어드레스 제어 데이터를 XRAM(24), YRAM(25)의 소정 영역에 퇴피시키고, 격납해둔다. 구체적으로는 XRAM(24)의 (244)어드레스~(247)어드레스에 효과 1용 YRAM 어드레스를 퇴피시키고, YRAM(25)의 (76)어드레스~(83)어드레스에 효과 1용 XRAM 어드레스 및 회부 RAM 어드레스를 퇴피시킨다. 계속해서 스텝 S36에서 효과 1의 연산결과를 설정된 효과 출력작성 루틴에 넣기 위해, XRAM(24)의 (233)어드레스에 있는 효쟈 출력작성루틴 어드레스를 서브루틴 호출 레지스터에 세트하고(호출준비를 함), 스텝 538에서 효과 출력작성 루틴을 호출하여 XRAM(24)의 (242)어드레스, (243)어드레스에 있는 효과 DAC 출력 LEFT 기억, 효과 DAC 출력 RIGHT 기억의 각 영역에 각각 데이터를 격납해둔다.
이렇게 해서 효과 DAC 출력기억영역에 효과 1의 출력데이터가 격납되고, 다음에 효과 2의 처리를 종료한 시점에서 최종적인 효과의 출력데이터가 구성되고, 이 출력데이터에 대해서 출력부(28)에 있어서 DA변환이 실행되어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효과가 부여된 신호가 출력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효과 2의 처리를 한다. 먼저, 스텝 540에서 효과 3 처리의 준비로서 XRAM(24), YRAM(25)에 설정된 각 ROM, RAM의 효과 2용 어드레스 제어 데이터(START, END, WIDTH, POINT, OFFSET,LOOF 등)를 각각 어드레스 제어부에 세트하고, 효과 2의 연산처리를 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계속해서 스텝 S42에서 효과 2의 입력설정 루틴을 호출하는 준비를 위해, XRAM(24)의 입력설정 루틴 2어드레스를 서브루틴 호출 FP지스터에 넣고, 스텝 44에서 입력설정 루틴을 호출한다. 이 입력설정 루틴에서 제11도에 도시되는 효과 2 입력선택(42)의 ON/OFF 상태가 설정되고, 이 설정상태에 의거하여 아날로그입력과 디지털 입력 및 효과 1의 술력을 선택 또는 가산하여 효과 2의 입력으로서 어큐뮬레이터(ACC)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스탭 546으로 이행하고, XRAM(24)의 (229)어드헤스에 격납된 효과 2 호출 어드헤스를 서브루틴 호술 레지스터에 넣고, 효과 2 처리루틴을 호출하는 준비를 한다. 계속해서 스텝 548에서 효자 2 처리루틴을 호출하고(즉, 서브루틴이 판독되고), 효과 2를 부여하는 처리를 한다. 이것에 의해 제2효과장치(45)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효과 2의 처리에서는 입력데이터(어큐뮬레이터)에서 소정의 절차에 따라 출력데이터가 연산된다. 그후, 스텝 S50에서 이 출력데이터, 다시 말해 계2효과장치(45)(효과 2)의 출력을 XRAM (24)에 있어서 (240)어드레스의 효과 2 LEFT 출력기억영역, (241)어드FP스의 효과 2 RIGHT 출력기억영역에 각각 격납한다. 이렇게 해서 제 2효과장치(45)에 의해 효과 2를 부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계속해서 스텝 552얘서 효과 2용의 각 ROM, RAM 어드FP스 제어 데이터를 XRAM(24), YRAM(25)의 소정 영역에 퇴피시키고, 격납해둔다. 구체적으로는 XRAM(24)의 (248)어드레스-(251)어드레스에 효과 2용 YRAM 어드레스를 퇴피시키고, YRAM(25)의 (84)어드레스-(91)어드헤스에 효과 2용 XRAM 어드레스 및 외부 RAM 어드레스를 퇴피시킨다. 계속해서 스텝 S54에서 효과 2의 연산결과를 설정된 DAC 작성루틴에 넣기 위해 XRAM(24)의 (233)어드레스에 있는 효과 출력작성 루틴 어드레스를 서브루틴 호출 레지스터에 세트하고(호출준비를 함), 스텝 S56에서 DAC 출력작성 루틴을 호출하여 XRAM(24)의 (242)어드레스, (243)어드레스에 있는 효과 DAC 출력 LEFT 기억, 효과 DAC 출력 RIGHT 기억의 각 영역에 각각 데이터를 격납 해둔다.
이렇게 해서 효과 DAC 출력기억영역에 효과 2의 출력데이터가 격납되고, 효과 1 및 효과 2에 의한 최종적인 효과의 출력데이터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스텝 S58에서 DAC 출력처리를 한다. 이것에 의해 효과 1 및 효과 2로 이루어지는 최종적인 효과의 출력구성 데이터에 대해서 출력부(28)에 있어서 DA 변환이 실행되어 입력음향신호에 대해 효과가 부여된 신호가 출력된다.
계속해서, 스텝 S60에서 하이릴리즈용 포장이 (0)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하이릴리즈을 포장은 예를 들면 효과를 전환할 경우에 음향신호의 레벨을 라른 속도로 감퇴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스텝 S60에서 하이릴리즈용 포장이 (0)일때는 효과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스텝 S62로 이행하여 효과변경처리를 한다. 한편, 하이릴리즈용 포장이 (0)이 아닐 때는 스텝 S12로 복귀하여 상기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입력부처리
제16도는 효과 제너럴 루틴의 스텝 S18에 있어서 입력부처리의 서브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서브루틴이 개시하면 먼저, 스텝 S70에서 AD 입력대기를 한다. 이것은 마이크(4)측의 아날로그신호를 AD 변환기에 의해 일정시간(표본 추출주기)마다 AD 변환하고, AD 변환 종료 후에 플러그(변환종료 플러그)를 세트하고, 이 플러그를 보고 AD 입력데이터의 판독이 가능해지므로, 플러그를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S70∼스텝 S76까지의 처리가 마이크(4)측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볼록이고, 스텝 S78∼스텝 S84가 키보드(2)측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블록에 상당한다.
스텝 S70에서 변환종료 플러그가 있으면, AD 입력데이터의 판독이 가능해지고, 다음 스텝 S72에서 AD입력 데이터를 어큐뮬레이터(ACC)에 기억한다. 그리고 AD 변환된 입력데이터를 판독한 시점에서 변환종료 플러그는 없어진다. 계속해서 스텝 S74에서 효과에 입력하기 전의 전처리(입력데이터 전처리)로서 디지털 필터링을 하고, 스텝 S76에서 그 필터링의 결과를 XRAM(24)의 (234)어드레스에 있는 AD 입력값 기억영역에 격납한다. 이렇게 해서 마이크(4)측의 아날로그신호를 AD 변환하여 받아들이는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키보드(2)측의 디지털 입력신호에 대한 처리를 한다. 먼저, 스텝 S78에서 키보드(2)에서의 디지털입력대기를 한다. 이것은 키보드(2)측의 디지털 입력신호가 있을 때마다 데이터 입력 플러그를 세트하고 있으므로, 이 플러그를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스템 S78에서 데이터 입려 플러그가 있으면 디지털 파헝 데이터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고, 다음 스텝 S80에서 이 입력 데이터(디지털 파형 데이터)를 XRAM(24)의 (235)어드레스에 있는 디지털 입력값 기억영역에 격납함과 동시에 어큐뮬레이터(ACC)에도 격납한다.
그리고 디지털 파형 데이터를 판독한 시점에서 데이터 입력 플러그는 없어진다. 계속해서 스텝 S82에서 효과에 입력하기 전의 전처리(입력 데이터 전처리)로서 디지털 필터링을 하고, 스텝 S84에서 그 필터링의 결과를 YRAM(25)의 (94)어드레스에 있는 디지털 입력용 필터 연산 데이터 기억영역에 격납한다. 이 격납 데이터는 다음회의 필터링 연산에도 사용한다. 또한 그 동안 제어부(22)는 연산부(27)와 수시로 데이터 교환을 하고, 필터링 연산에 필요한 RAM(XRAM(24), YRAM(25),외부 RAM(26))의 어드레스 세트나 플러그의 관리 등을 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키보드(2)측의 디지털 입력신호를 받아들이는 처리가 실헹된다.
명령 번경 처리
제17도는 효과 제너럴 루틴의 스텝 516에 있어서 명령변경처리의 서브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서브루틴이 개시하면 먼저, 스텝 S100에서 텐키(11)에 의해 눌려진 키코드를 어큐뮬레이터(ACC)에 넣는다. 이 키코드는 새로운 효과번호를 지정하는 것에 상당한다. 계속해서 스텝 5102에서는 입력된 키코드를 효과번호로 전환하고, 변환한 새로운 효과번호를 YRAM(25)의 전류 효과번호영역, 즉 (%)어드레스의 전류 명령기억영역에 격납한다. 고리고 만약 액정표시부(18)가 부가되믹 있다면 이 값에 의거하여 액정표시부(18)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스텝 5104에서 하이릴리즈 처리의 준비를 하기 의해, XRAM(24)의 (233)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효과 출력작성루틴 호출용의 어드레스를 변경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매회 효과 출력작성시에 하이릴러즈용 포장이 서로 엮이도록 하여 현재 효과의 출력음에 하이릴리즈처리를 실행시키고, 통상 효과처러로 복귀 한다.
이와 같이 덴키(11)에서 새로운 키코드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새로운 효과번호가 지정되고, 하이릴리즈처리를 하여 입력신호에 부여하는 새로운 효과로 원활하게 전환되도록 한다.
효과변경처리
제18도는 효과 제너럴 루틴의 스텝 561에 있어서 효과변경처리의 서브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서브루틴이 개시하면 먼저 스텝 S110에서 XRAM(24), YRAM(25)의 효과용 영역을 삭제하고, 스텝 S112에서 외부RAM(26)을 삭제한다. 계속해서 스텝 S114로 이행하고, 새로운 효과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ROM (23)에서 판독하여 XRAM(24), YRAM(25)의 소정 영역에 세트한다. 계속해서 스텝 5116에서 하이릴리즈용 포장을 초기값(예를들면, [1])으로 초기화하여 효과 제너럴 루틴으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효과 제너럴 루틴의 사이클이 영령의 변화가 있기까지 반복되고, 도중에서 명령이 변화하면 상기 명령변경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XRAM(24)의 (237)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음소거용 포장 (하이릴리즈용 포장)이 DAC 출력작성루틴중에서 일정 비율로 감산되고, 최종출력에 서로 엮이도륵 출력되는 것으로, 음소거가 실행된다. 또한 XRAM(24)의 (237)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응소거용 포장(하이릴리즈용 포장)이 [0]이 되고, 완전히 소거가 종료한 시점에서 효과변경처리로 이행하고, 새로운 효과가 부여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효과, 부여형태 하나하나마다 각각 독립한 프로그램을 가질 필요가 없고, 데이터 ROM(%)에 효과의 종류나 부여형태를 선택가능한 각종 데이터를 단지 미리 격납해 두고, 텐키(11)에 의해 효과번호를 지정하면 새로운 효과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ROM(23)에서 판독되어 XRAM(24), YRAM(25)의 소정 영역에 세트되고, 이것이 서브루틴 호출되어 하나의 프로그램이 작성되어 실행되게 된(24), YRAM(25)에 격납된 각종 데이터에 의거하여 새로운 효과를 부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복수의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효과의 종류나 형태의 종류를 텐키(11)의 지정에 의해 가변시켜도, 하나하나 독립한 프로그램을 갖게 하는 것에 비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여기서는 데이터 ROM(23))의 용량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도 저감할 수 있고, 더우기 데이터의 판독시간이 증대하는 일이 없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만약 선택하는 효과나 부여형태가 중대해도 텐키에서 효과번호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효과나 부여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자(예를 들면, 스위치 종류)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동일용량의 메모리(데이터 ROM(23)이면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보다 많은 종류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또 보다 많은 부여의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부여하는 효과로서는 상기의 각 도면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부여형태도 각 도면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력신호로서는 마이크나 키보드에서의 음향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음향신호라도 상관없다.
다음에 입력신호가 1개인 예를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B. 제 2 실시예
이 제 2실시예는 1개의 입력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효과의 종류나 형태의 종류를 선택키의 지정에 의해 가변시키는 예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효과부가장치(디지털 효과장치)를 적용한 마이크장치의 정면도이고, 제20도는 동 마이크장치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01은 마이크장치 본체이고, 마이크장치 본체(101)는 예를 들면 수지를 소재로 해서 형성되고, 소정의 다채로운 색채가 채색되고 있다. 또한 마이크장치 본체(101)외 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마이크(102)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102)는 무지향성의 것이 사용되고, 예를 들면 두 사람이 2중창을 할 때 음성을 알맞게 입력할 수 있도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102)의 주위에는 부드러운 소재(예를 들면, 스폰지 같은 것)가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장치 본체(101)는 전체가 삼각형에 가까운 수평단면을 갖는 입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측에는 타원영상의 2개의 스피커(103a,103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스피커(103a,103b)에서 2방향으로 마이크 음성을 포함하는 연주출력이 방음된다. 한편, 마이크장치 본체(101)의 후부측에는 2개의 손잡이부(104)(다른쪽의 손잡이부는 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손잡이부(104)를 가라오케 연주에 맞춰 노래하는 사람이 잡는 것에 의해, 마이크장치 본체(101)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04)를 2개 설치하고 있는 것은, 예를 들면 두 사람이 2중창을 할 때에 각자가 양방향에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마이크장치 본체(101)의 원통형 상부는 패널기부(106)에 고정되어 있고, 이 패널기부(106)는 수평단면이 거의 삼각형의 입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기부(106)에는 조작패널(107)이 대치되어 있고, 조작패널 (107)의 상세한 것은 제21도와 같이 도시된다. 제21도에 있어서 조작패널(107)에는 전원/모드 스위치(111), 볼륨(112), 전원/모드 표시램프(113) 및 선택키(114)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모드 스위치(111)로서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형식의 것이 사용되고 있고, 전원/모드 스위치(111)는 마이크장치 본체(101)의 전원을 ON/OFF하는 외에(「OFF」의 포지션에서 전원 ON, 그 이외에서 전원 ON), 무효과의 원음을 통과시키는 「1THRU」의 포지션, 선택키(114)를 2회 눌러 선택시키는 「2THRU」의 포지션, 선택키(114)를 1회 눌러 선택시키는 「1THRU」의 포지션을 갖고, 각 포지션의 모드를 선택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볼륨(112)은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형식의 것으로, 스퍼커(103a,103b)의 출력레벨을 조정한다. 전훤/모드 표시쌤프(113)는 전원/모드 스위치(111)의 슬라이드 포지션에 의해 전원의 ON상태, 각 모드의 선택상태 등에 따라 점등한다. 선택키(선택수단)(114)는 「I에서 「8까지 8개의 키를 갖고 있고, 이들 키중 1개 또는 2개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여기서는 마이크신호)에 부여하는 효과 NO.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키(114)에 의해 선택되는 효과로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것이 있고, EFFECT BANK로서 미리 프로그램형으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실시예에서는 효과형 NO. 리스트 표시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이것은 예를들면 마이크장치 본체(101)의 소정 개소에 배치해도 되고, 또는 취금설명서에 첨부해도 된다.
마이크장치 본체(101)의 한쪽 측부에는 패널기부(106)에는 단자패널(121)이 배치되어 있고, 단자패널(121)은 제22도에 확대한 상세한 형상을 도시하고 있듯이 마이크 입력잭(122), 폰 출력잭(123) 및 전원잭(124)을 갖고 있다. 마이크 입력잭(122)은 외부 마이크를 접극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마이크장치 본체(101)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2중창을 할 경우에 이 마이크 입력잭(122)에 외부 마이크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마이크(102)와는 다른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폰 출력잭(123)은 헤드폰을 접속하는 것으로, 이 폰 출력잭(1%)에 헤드폰의 플러그를 삽입하면 스피커(103a,103b)에서의 방음출력이 정지하고, 헤드폰에 출력되게 된다.
전원잭(124)은 외부전원(예를 들면, DC9V)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이크장치 본체(101)에는 내부전원(예를 들면, 건전지)이 내장되어 있고, 통상은 내부전원에서 필요한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다음에 제23도는 마이크장치 본체(101)에 부가된 효과부가강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제23도에 있어서 효과부가장치는 효과선택 스위치(선택키에 상당)(114), 앰프(131), 로우 패스 필터(132), A/D 변환회로(133), DSP(134), 데이터용 ROM(135), 작업 RAM(136), 버스(137), D/A 변환회로(138) 및 출력부(139)를 갖고 있다.
효과선택 스위치(114)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효과중에서 1자리수 또는 2자리수의 수치에 대응하는 키를 눌러 효과의 번호(효과 NO.)를 지정하는 것이고, 효과선택 스위치(114)에서의 신호는 DSP(134)에 입력된다. 마이크(103)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앰프(133)에 의해 증폭된 후, 로우 패스 필터(132)를 개재하여 A/D 변환회로(113)에 공급되고, A/D 변환되어 DSP(13)에 보내진다. 마이크(102), 앰프(131), 로우 패스 필터(132) 및 A/D 변환회로(133)은 전체로서 입력수단9140)을 구성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1020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만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DSP(134)는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나 연산부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고, 효과선택 스위치(114)에 의해 지정된 효자의 번호를 판독하여 데이터용 ROM(135)에서 대응하는 혜더 데이터를 판독하고, A/D 변환회로(133)나 D/A 변환회로(138)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접수를 함자 동시에 작업 RAM(136)의 어드레스나 데이터를 제어한다. 데이터용 ROM(135)은 복수의 효과나 그 부여형태에 대응하는 헤더 데이터나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즉, 입력된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효과 각각에 대응한 효과 프로그램 및 효과가 부여된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용 ROM(135)은 프로그램 기억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작업 RAM(136)은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XRAM, YRAM 및 외부 RAM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 경우 XRAM, YRAM은 효과부여를 위한 연산이나 출력제어를 위한 루틴 어드레스의 기억, 입출력 데이터의 일시 저장 등에 사용되고, 외부 RAM은 효과부여를 위한 신호처리(예를 들면, 지연용 RAM으로서 사용하여 신호를 지연시키는 등의 처리)를 할 때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DSP(134) 및 작업 RAM(136)은 전체로서 신호처리수단(141)을 구성한다.
DSP(134)에서의 데이터는 버스(137)를 개재하여 D/A 변환회로(138)로 보태지고, D/A 변환되어 출력부(139)에 공급된다. 출력부(139)는 앰프(142) 및 스피커(103a,103b)로 구성되고, D/A 변환되어 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103a,103b)에서 방음한다.
다음에 제24도는 본 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효과부여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24도에 있어서, 마이크(102)는 예를 들면 본 장치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소리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마이크(102)에서는 아날로그 음향신호가 출력된다. 마이크(102)에서의 신호는 효과 1 입력선택(151), 효과 2 입력선택(152) 및 직접음제어 스위치(153)에 입력된다. 효과 1 입력선택(151)은 디지털 소프트 스위치로서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적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마이크(102)에서의 신호를 선택(본 실시예에서는 ON하는 것에 의해 선택)하여 후단의 제1효과장치(154)에 출력한다. 제 1효과장치(154)는 효과 1(EFFECTI)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 경우는 효가 1 입력선택(151)에 의해 선택된 입력신호에 대해서 효과 1이라고 하는 음향효과를 부여한다.
제 1효과장치(154)의 출력은 효과 2 입력선택(152)에 입력되어 있고, 효과 2 입력선택(15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102)에서의 신호가 직접 입력되어 있으므로, 결국 마이크(102)에서의 신호 및 제 1효과장치(154)에서의 2개의 신호가 효과 2 입력선택(152)에 입력되게 된다. 효과 2 입력선택(152)은 디지털 소프트 스위치로서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적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마이크(102)에서의 신호 혹은 제 1효과장치(154)에서의 신호중 어느 1개, 또는 2개의 신호를 선택하여 후단의 제2효과장치(155)에 출력한다. 제2효과 장치(155)는 효과 2(EFFECT2)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 경우는 효과 2 입력선택(152)에 의해 선택된 신호에 대해서 효과 2라고 하는 음향효과를 부여한다.
제 2효과장치(155)외 출력은 피드 백 스위치(156)를 개재하셔 소정의 피드 백 게인을 얻는 승산기(157)를 통해 제 1효과장치(150)의 입력측으로 피드 백 되어있고, 이것에 의해 제 2효과장치(155)의 출력에 대한 피드 백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드 백 효과를 얻고자 할 때는 퍼트 백 스위치(156)를 ON한다.
또한 제2효과장치(155)의 출력은 효과 2 L·R 출력 스위치(161)를 개재하여 출력라인(OUTPUT0, OUTPUT1)의 신호에 가산가능하게 되어있다.
한편, 상기 제 1효과장치(154)의 출력은 효과 1 L·R 출력 스위치(162)를 개재하여 출력라인(OUTPUT0, OUTPUT1)의 신호에 가산가능하게 되어있고, 그리고 마이크(102)에서의 신호는 직접음제어 스위치(153)를 개재하여 출력라인(OUTPUT0, OUTPUT1)의 신호에 가산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효과 2 L·R 출력 스위치(161), 효과 1 L·R 출력 스위치(162) 및 직접음제어 스위치(153)는 전체로서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출력형태 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현하는 부분에 상당하는 것으로, 효과가 부여된 상기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한다. 예를들면, 직접음제어 스위치(153)가 ON, 효과 2 L·R 출력 스위치(161). 및 효과 1 L·R 출력 스위치(162)가 OFF일때는 마이크(102)에서의 신호가 직접 출력라인(OUTPUT0, OUTPUT1)에서 나온다. 직접음제어 스위치(153)자 OFF, 효과 2 L·R 출력 스위치(161)가 ON, 효과 1 L·R 출력 스위치(162)가 OFF일때는 제2효과장치(155)의 출력이 출력라인 (OUTPUT0, OUTPUT1)에서 나은다. 직접음제어 스위치(153)가 OFF, 효과 2 L·R 출력 스위치(161)가 OFF 효과 1 L·R 출력 스위치(162)가 ON일때는 제 1효과장치(154)의 출력이 출력라인(OUTPUT0, OUTPUT1)에서 나온다.
또한 효과 2 L·R 술력 스위치(161), 효과 1 L·R 출력 스위치(162) 및 직접음제어 스위치(153)의 어느 것 2개 이상이 ON일때는 그 ON한 2개 이상의 스위치를 개재하고, 마이크(102)에서의 신호, 제 1효과장치(154)의 출력 또는 제2효과장치(155)의 각 출력중 선택된 2개 이상의 신호가 혼합되어 출력라인(OUTPUT0, OUTPUTI)에서 나온다.
다음에 본 장치에 의해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입력음향신호가 1개인 점을 감안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은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입력음향신호가 마이크(102)에서의 신호가 1개인 마이크장치에 대해서도 적절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제 3 실시 예
이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마이크장치에 적용한 예인데, 다른 것은 선택키(114)의 선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설치한 점이다. 재25도는 마이크장치의 측면도이고,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마이크장치 본체(201)의 패널기부(106)에는 제 2실시예와 다른 구성의 조작패널(207)이 배치되어 있고, 조작패널(207)의 상세한 것은 제26도와 같이 도시된다. 그리고 고외의 구성은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번호를 붙이고 있다.
제26도에 있어서 조작패널(207)에는 전원/모드 스위치(111), 볼륨(112), 전원/모드 표시램프(113) 및 선택키(114)가 배치되어 있는 외에 액정표시부(210)이 설치되어 있다. 액정표시부(210)는 선택키 (114)에서 지정한 1자리수 또는 2자리수의 수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최대한 2자리수까지의 수치를 표시가능하다.
다음에 제27도는 마이크장치 본체(201)에 부가된 효과부가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제27도에 있어서 DSP(134)는 액정표시부(210)에 접속되어 있다. DSP(134)는 효과선택 스위치(114)의 선택결과에 따라 액정표시부(210)에 대응하는 수치를 표시하도록 지령하고, 액정표시부(210)는 지정된 1자리수 또는 2자리수의 수치를 표시한다. 그외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따라서 제 2실시예의 경우에는 선택키(114)에서 지정한 수치를 볼 수 없지만, 이 제 3실시예에 있어서는 선택키(114)에서 지정하는 1자리수 또는 2자리수의 수치를 액정표시부(210)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D. 제 4 실시예
이 제 4실시예는 입력신호가 테이프 레코더의 예이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효과부가장치(디지털 효과장치)를 적용한 마이크장치의 외관도이다. 제28도에 있어서 301은 테이프 레코더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이고,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는 예를 들면 주요부가 수지를 소재로서 형성되고, 소성의 다채로운 색채가 채색되어 있다.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는 테이프 레코더를 내장하고 있고, 이 부분은 테이프 레코더부(302)로 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레코더로서는 예를 들면 통상 크기의 카세트 테이프 또는 미니 카세트 테이프 어느것을 사용해도 된다.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에는 마이크(303)이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303)로서는 무지향성의 것이 사용된다. 마이크(303)의 주위에는 부드러운 소재(예를 들면, 스폰지 같은 것)가 배치되어 있다. 효과 마이크장치본체(301)는 전체가 사다리꼴에 가까운 수평단면을 갖는 입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측에는 원형상의 스피커(3e4)가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304)에서 전면방향으로 마이크 음성을 포함하는 효과출력이 방음된다. 한편,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의 일측부에는 손잡이부(305)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305)는 조작자의 손으로 잡기 쉬운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손잡이부(305)를 잡는 것에 의해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를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다.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의 다른쪽 측면에는 각종 조작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각종 조작 스위치는 구체적으로는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 스위치(311), 테이프 레코더부(302)를 작동시키는 플레이 스위치(312), 테이프를 고속이송하는 고속이송 스위치(313), 테이프를 되감는 되감음스위치(314) 및 테이프 레코더부(302)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스위치(315)로 구성된다. 그외 스피커(304)의 음량을 조정하는 볼륨 등(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의 전면측에는 효과선택 스위치부(320)가 배치되어 있다. 효과선택 스위치부(320)는 7개의 키(320a-32Og)를 갖고 있고, 이들 키(320a∼320g)중 1개 또는 2개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여기서는 마이크신호)에 부여하는 효과 NO.를 선택한다. 그리고 효과선택 스위치부(320)의 각 키(320a∼320g)를 누르면, 키 자체가 점등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효과선택 스위치부(320) 7개의 키(320a∼320g)에 대해서, 예를 들면 「I」에서 「7」까지의 숫자를 각각 표시해도 된다.
여기서 효가선택 스위치부(320)에 의해 선택되는 효과로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것이 있고, EFFECT BANK로서 미리 프로그램형으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4실시예에서는 효과명 NO. 리스트 표시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이것은 예를 들면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의 소정 개소에 배치해도 되고, 또는 취급설명서에 첨부해도 된다. 쓰리고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에는 내부전원(예를 들면, 건전지)이 내장되어 있고, 통상은 내부전원에서 필요한 동작전원이 공급되지만 외부전원단자를 설치해도 된다.
다음에 제29도는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301)에 부가된 효과부가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제29도에 있어서 효과부가장치는 효과선택 스위치부(320), 앰프(331), 로우 패스 필터(332,333), A/D 변환회로(334,335), DSP(336). 데이터용 ROM(337), 작업 RAM(338), 버스(339), D/A 변환회로(340) 및 출력부(341)를 갖고 있다.
효과선택 스위치부(3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효과중에서 원하는 효과에 대응하는 키를 눌러 효과의 번호(효과 NO.)를 지정하는 것이고, 효과선택 스위치부(320)에서의 신호는 DSP(336)에 입력된다.
한편, 마이크(303)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앰프(331)에 의해 증폭된 주, 로우 패스 필터(332)를 개재하여 A/D 변환회로(334)에 공급되고, A/D 변환되어 DSP(336)에 보내진다. 또한 테이프 레코더부(302)의 테이프 헤드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로우 패스 필터(333)를 개재하여 A/D 변환회로(335)에 공급되고, A/D 변환되어 DSP(336)에 보내진다.
마이크(303), 테이프 레코더부(302). 앰프(331), 로우 패스 필터(332,333) 및 A/D 변환회로(334,335)는 전체로서 입력수단(350)을 구성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303) 띤 테이프 레코더부(302)에서의 아날로그음향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있다.
DSP(336)는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나 연산부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고, 효과선택 스위치부(320)에 의해 지정된 효과의 번호를 판독하여 데이터용 ROM(337)에서 대응하는 헤더 데이터를 판독하고, A/D 변환회로(334,335)나 D/A 변환회로(34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접수를 함과 동시에, 작업 RAM(338)의 어드레스나 데이터를 제어한다. 데이터용 ROM(337)은 복수의 효과나 그 부여형태에 대응하는 헤더 데이터나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즉, 입력된 2개의 음향신호 각각에 대해서 효과 부여의 형태에 대응한 입력형태 프로그램, 입력된 2개의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효과 각각에 대응한 효과 프로그램 및 효과가 부여된 음향신호를 어떠한 떵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용 ROM(337)은 프로그램 기억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더욱 상세히는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 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상당한다.
작업 RAM(338)은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XRAM, YRAM 및 외부 RAM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 경우 XRAM, YRAM은 효과부여를 위한 연산이나 입출력 제어를 위한 루틴 어드레스의 기억, 입출력데이터의 일시저장 등에 사용되고, 외부 RAM은 효과부여를 위한 신호처리(예를들면, 지연용 RAM으로서 사용하여 신호를 지연시키는 등의 처리)를 할때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DSP(336) 및 작업 RAM(338)은 전체로서 신호처리수단(360)을 구성한다.
DSP(336)에서의 데이터는 버스(339)를 개재하여 D/A 변환회로(340)에 보내지고, D/A 변환되어 출력부 (341)에 공급된다. 출력부(341)는 앰프(342) 및 스피커(304)로 구성되고, ,D/A변환된 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340)에서 방음한다.
다음에 본 장치에 의해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입력음향신호가 2개이지만, 테이프 레코더부(303)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받아들이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은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입력음향신호가 마이크(303) 뿐만 아니라 테이프 레코더부(302)에 녹음한 음성 등의 신호에 대해서도 적절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E. 제 5 실시 예
이 제 5실시예는 입력신호가 CD 재생장치의 예이다.
제30도는 본 발명의 효과부가장치(디지털 효과장치)를 적용한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의 외관도이다. 제30도에 있어서 401은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이고,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는 예를 들면 주요부가 수지를 소재로서 형성되고, 소정의 다채로운 색채가 채색되어 있다.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는 CD 재생장치를 내장하고 있고, 이 부분은 CD부(402)로 되어있다. 그리고 CD 재생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통상 크기의 CD 또는 미니 CD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에는 마이크(403)가 설치되어 있고, 마이크(403)로서는 무지향성의 것이 사용된다. 마이크(403)의 주위에는 부드러운 소재(예를 들면, 스폰지 같은 것)가 배치되어 있다. CD가 부각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는 전체가 타원형에 가까운 수평단면을 갖는 입체로 성형되어 있고, 그 전면측에는 원형상의 스피커(404)가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404)에서 전면방향으로 마이크 음성을 포함하는 효과출력이 방음된다.
한편,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의 거의 중앙부에는 효과선택 스위치부(선택수단)(410)이 배치되어 있다. 효과선택 스위치부(410)는 6개의 키(410a-410f)를 갖고 있고, 이들 키(410a-410f)중 1개 또는 2개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여기서는 마이크신호)에 부여하는 효과 NO.를 선택한다. 그리고 효과선택 스위치부(410)의 각 키(410a-410f)를 누르면 키 자체가 점등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효과선택 스위치부(410)의 6개의 키(410a∼410f)에 대해서. 예를 들면 「I」에서 「6」까지의 숫자를 각각 표시해도 된다.
여기서 효과선택 스위치부(410)에 의해 선택되는 효과로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것이 있고, EffECT BANK로서 미리 프로그램형으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5실시예에서는 효과명 NO. 리스트 표시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이것은 예를 들면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의 소정 개소에 배치해도 되고, 또는 취급설명서에 첨부해도 된다.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에는 내부전원(예를 들면, 건전지)이 내장되어 있고, 통상은 내부전원에서 핀요한 동작전훤이 공급되지만 외부전원단자를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에는 각종 조작 스위치 예를들면 전원 스위치, CD부(402)의 작동/정지 스위치, 고속이송 스위치, 스피커(404)의 음량을 조정하는 볼륨 등이 배치되어 있지만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 제31도는 CD가 부착된 효과 마이크장치 본체(401)에 부가된 효과부가장치의 욜록구성도이다. 제31도에 있어서 효과부가장치는 효과선택 스위치부(410), 앰프(431), 로우 패스 필터(432), A/D 변환회로(434), DSP(B6), 데이터용 ROM(437), 작업 RAM(438), 버스(439), D/A 변환회로(440) 및 출력부(441)를 갖고 있다.
효과선택 스위치부(41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효과중에서 원하는 효과에 대응하는 키를 눌러 효과의 번호(효과 NO.)를 지정하는 것이고, 효과선택 스위치부(410)에서의 신호는 DSP(436)에 입력된다.
한편, 마이크(403)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앰프(431)에 의해 중폭된 두, 로우 패스 필터(432)를 개재하여 JUD 변환회로(434)에 공급되고, A/D 변환되어 DSP(436)에 보태진다. 또한 CD부(402)에 있어서 CD메카니즘(특히, CD 픽업)(470)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디지털 데이터 변환부(47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DSP(436)에 보내진다.
마이크(403), CD부(402), 앰프(431), 로우 패스 필터(432), A/D 변환회로(434) 및 디지털 데이터 변환부(471)는 전체로서 입력수단(450)을 구성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403) 및 CD부(402)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DSP(436)는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나 연산부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으로, 효과선택 스위치부(410)에 의해 지정된 효과의 번호를 환독하여 데이터용 ROM(437)에서 대응하는 헤더 데이터를 판독하고, A/D 변환회로(434), 디지털 데이터 변환부(471) 및 D/A 변환회로(44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접수를 함과 동시에, 작업 RAM(438)의 어드레스나 데이터를 제어한다. 데이터용 ROM(437)은 복수의 효과나 그 부여형태에 대응하는 헤더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즉, 입력된 2개의 음향신호 각각에 대해서 효과 부여의 형태에 대응한 입력형태 프로그램, 입력된 2개의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효과 각각에 대응한 효과 프로그램 및 효과가 부여된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작업 RAM(438)온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XRAM, YRAM 및 외부 RAM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경우 XRAM, YRAM은 효과부여를 위한 연산이나 입출력 제어를 위한 루틴 어드레스의 기억, 입출력 데이터의 일시저광 등에 사용되고, 외부 RAM은 효과부여를 위한 신호처리(예를 들면, 지연용 RAM으로서 사용하여 신호를 지연시키는 등의 처리)를 할때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DSP(436) 및 작업 RAM(438)은 전체로서 신호처리수단(460)을 구성한다.
DSP(436)에서의 데이터는 버스(439)를 개재하여 D/A 변환회로(440)에 보내지고, D/A 변환되어 출력부(441)에 공급된다. 출력부(441)는 앰프(442) 및 스피커(404)로 구성되고, D/A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404)에서 방음한다.
다음에 본 장치에 의해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입력음향신호가 2개이지만, CD부(402)에서의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받아들이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입력음향신호가 마이크(403) 분만 아니라, CD부(402)에 녹음한 음악 등의 신호에 대해서도 적절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CD부(402)로서는 재생전용의 장치뿐만 아니라, 예를들면 녹음/재생 양쪽을 가능한 CD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레이저 디스크를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입력음향신호로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음향신호(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작성한 신호 등)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4, 제5실시예에 있어서 효과부여의 던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예를들먼 액정표시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20)

  1.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음향효과 각각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이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외부에서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음향효과를 부여하는 출력하는 처리를 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입력되는 복수의 음향신호에 애해서 음향효과의 부여의 형태를 겨렁하는 프로그램을 복수종류 기억하는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상기 입력된 음햐효과에 대해서 부여해야 할 음향효과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복수종류 기억하는 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음향효과가 부여 상기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 결정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부가장치는 또 그외면상에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내용을 기억한 표시패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기억수단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되는 음향신호로서 제1 및 제1입력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텐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상기 제 1효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음향효과를 제1입력신호만, 제2입력신호만, 도는 제 1 및 제2입력신호의 혼합출력에 부여하는 형태의 어느 것 1개를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제2효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음향효과를 제1입력신호, 제2입력신호 및 제1음향 효과를 부여한 입력신호중 어느것을 혼합한 신호에 부여하는가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상기 제1음향효과가 부여된 신호, 제2음향효과가 부여된 신호 및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제1 및 제2임력신호와 어느것을 호합하여 출력되는가를 선택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 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프로글램을 판독할 수 있는 1개의 기억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9. 입력되는 복수의 음향신호 각각에 대해서 음향효과의 부여형태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상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음향효과 각각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음향효과가 부여된 상기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상기 입력형태 프로그램, 효과 프로그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외부에서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입력형태 프로그램, 효과 프로그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입력된 복수의 음향신호에 대해서 음향효과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음향신호로서 제1 및 제2입력신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텐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상기 제1효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음향효과를 제1입력신호만, 제2입력신호만, 또는 제1 및 제2 입력신호의 혼합출력에 부여하는 형태의 1개를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제2효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음향효과를 제1입력신호,제2입력신호 및 제1음향효과를 부여한 입력신호중 어는 것을 혼합한 신호에 부여하는가를 선택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상기 제 1음향효과가 부여된 신호,제2음향효과가 부여된 신호 및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제1 및 제2 입력신호의 어느것을 혼합하여 출력하는가를 선택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효과부가장치.
  14. 제9항에 잇어서, 상기 입력형태프로그램 기억수단,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프로글램을 판독할수 잇는1개의 기억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5.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하는 복수의 음향효과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이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입력된 음향신호에 대해서 음향효과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하는 신호처리수단을 장치본체에 내장함과 동시에 그 장치 외면상에, 상기 선택수단의 선택동작을 외부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표시패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입력되는 복수의 음향신호에 대해서 음향효과의 부여형태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복수종류 기억하는 입력형태 기억수단과, 상기 입력된 음향신호에 대해서 부여해야할 음향효과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복수종류 기억하는 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과, 음향효과가 부여된 상기 음향신호를 어떠한 형태로 출력하는가를 결정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음향신호로서 제1 및 제2입력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텐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형태 프로글램 기억수단은 상기 제1효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음향효과를 제1입력신호만,제2입력신호만, 또는 제1 및 제2입력신호의 혼합출력에 부여하는 형태의 어느것 1개를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제2효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음향효과를 제1입력신호, 제2입력신호 및ㅍ 제1음향효과를 부여한 입력신호중 어느것을 혼합한 신호에 부여하는가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상기 제1음향효과가 부여된 신호, 제2음향효과가 부여된 신호 및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제1 및 제2입력신호의 어느것을 혼합하여 출력하는가를 선택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 효과 프로그램 기억수단 및 출력형태 프로그램 기억수단은 프로그램을 판독할수 있는 1개의 기억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부가장치.
KR1019930020966A 1992-10-11 1993-10-09 효과부가장치 KR0122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791292 1992-10-11
JP4-297912 1992-10-11
JP4354146A JPH06175656A (ja) 1992-10-11 1992-12-15 効果付加装置
JP4-354146 1992-12-15
JP4-354145 1992-12-15
JP4354145A JPH06175655A (ja) 1992-10-11 1992-12-15 効果付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925A KR940009925A (ko) 1994-05-24
KR0122087B1 true KR0122087B1 (ko) 1997-11-17

Family

ID=2733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966A KR0122087B1 (ko) 1992-10-11 1993-10-09 효과부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63691A (ko)
KR (1) KR0122087B1 (ko)
CN (1) CN1096054C (ko)
MY (1) MY1106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2348B1 (en) * 1994-09-13 2000-07-12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signal processor having a tonal effect imparting function
JPH08160972A (ja) * 1994-12-01 1996-06-21 Sega Enterp Ltd エフェクト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カラオケ装置
JP2001005457A (ja) 1999-06-22 2001-01-12 Casio Comput Co Ltd 楽音制御装置及び楽音制御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79268B2 (ja) * 2004-11-25 2008-11-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合成装置およびデータ合成処理のプログラム
WO2013019357A1 (en) * 2011-07-29 2013-02-07 Full Throttle Films, Inc. Musical instrument with video display
JP5733322B2 (ja) * 2013-01-04 2015-06-10 ヤマハ株式会社 効果付与装置および効果付与方法
JP6252642B1 (ja) * 2016-09-27 2017-12-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効果付与装置、効果付与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楽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6198A (ja) * 1984-06-01 1985-12-17 ヤマハ株式会社 効果付与装置
US5050216A (en) * 1985-09-13 1991-09-17 Casio Computer Co., Ltd. Effec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864625A (en) * 1985-09-13 1989-09-05 Casio Computer Co., Ltd. Effec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5218710A (en) * 1989-06-19 1993-06-0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having independent and distinct data buses for concurrently transferring audio signal data to provide acoustic control
US5272274A (en) * 1989-08-10 1993-12-21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reverberation effect
JPH03220912A (ja) * 1990-01-26 1991-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切り換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925A (ko) 1994-05-24
MY110675A (en) 1999-01-30
CN1096054C (zh) 2002-12-11
CN1086338A (zh) 1994-05-04
US5463691A (en) 199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201B1 (ko)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JPS6386907A (ja) 利得調整回路
KR0122087B1 (ko) 효과부가장치
US5974154A (en) Effector with integral setting of control parameters and adaptive selecting of control programs
EP1343140A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US5428184A (en) Karaoke circuit for optical disk player
JP2936863B2 (ja) 楽音信号形成装置のための音色制御装置
JPH06175656A (ja) 効果付加装置
US20040138770A1 (en) Audio reproducer suitable to practice musical instrument
JP2000089774A (ja) カラオケ装置
US6147292A (en) Data-setting system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06175655A (ja) 効果付加装置
JP3334165B2 (ja) 楽音合成装置
JP3312939B2 (ja) 電子楽器
JP3360701B2 (ja) 電子楽器
JP2983122B2 (ja) 電子楽器
JP3316139B2 (ja) カラオケ装置
JP2541867B2 (ja) 楽音情報のベロシティ値変更装置
JP3048206B2 (ja) 電子楽器の音響装置
KR980011284A (ko) 가라오케시스템의 이중음향 출력장치
JPH09325770A (ja) 電子楽器
JPH10124072A (ja) カラオケ装置
JPH0435920Y2 (ko)
JPH06225400A (ja) 音場制御装置
KR970003037B1 (ko) 캠코더의 촬영시 배경효과음 동시 더빙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